16일 '계통안정화ESS 건설사업 제13차 제작사 공청회'
공청회 아닌 설명회였다는 지적도

16일 전기진흥회관에서는 '계통안정화ESS 건설사업 제13차 제작사 공청회'가 열렸다.
16일 전기진흥회관에서는 '계통안정화ESS 건설사업 제13차 제작사 공청회'가 열렸다.

ESS 업계가 기다리던 한전의 공공ESS 사업이 사실상 통합발주가 유력해졌다.

지난 16일 전기진흥회관에서는 ESS 건설사업 적기 추진을 위한 현안 공유 및 제작사 의견수렴을 목적으로 '계통안정화ESS 건설사업 제13차 제작사 공청회'가 열렸다. 이날 공청회는 업계 관계자들의 상당한 관심을 받아 한전 관계자를 비롯해 ESS 공급사 및 제작사 담당자 등 40명가량의 인원이 모였다.

주요 내용은 ▲EPC 사업자 업무범위 설정내역 및 ESS 발주방식 안내 ▲ESS 입찰자격 및 낙찰자 선정방식 설명 ▲기타 의견수렴과 향후일정 공유 등이었다.

가장 큰 관심사는 발주방식이었다. 그동안 '통합발주'와 '분리·분할발주'를 두고 업계 의견이 나뉘었기 때문이다. ESS 중소기업들은 "통합발주는 중소기업들이 대기업 하청으로 전락하는 것"이라며 의견을 제시했으나 한전은 "법적으로 일괄계약이 원칙으로 돼있다"라고 답변했다.

'계통안정화ESS 건설사업 제13차 제작사 공청회'에서 관계자들이 의견을 나누고 있다.
'계통안정화ESS 건설사업 제13차 제작사 공청회'에서 관계자들이 의견을 나누고 있다.

노상수 한전 변전건설부장은 "과거 FR ESS 사업은 화재로 제대로 운용이 어려워졌고 배터리 회사와 PCS 회사가 서로 책임을 떠넘기면서 한전이 감당할 리스크와 비용만 커져 내부적으로 PCS와 배터리의 통합발주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모아졌다"고 말했다. 이어 "한전은 이번 사업을 수익성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다"며 "계통 운영입장에서 효과를 보고 LNG 구입을 낮추는 등 전력구입비를 아끼기 위해선 안정적이고 빠른 ESS 운영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부북·신남원 336MW ESS는 용량 분할 없이 각 1개 건으로 발주되게 됐다. 한전 측은 "대규모 336MW ESS 설비물량 분할발주는 국가계약법과 배치된다"며 "분할발주의 경우 여러 악용 사례가 있을 수 있다는 답변 해석을 받았고 EPC사들의 의견도 찬성과 반대로 나눠졌다"고 밝혔다. 결국 통합발주가 유력해진 것이다.

이외에도 종합토의에서 "소방면허 자격을 가진 업체가 몇 없어 컨소시엄 구성이 어려울 수 있다", "배터리 컨테이너 업체가 한정적인데 일정이 너무 짧다"는 지적에 대해 한전은 "소방은 분리발주를 연구 중이며 컨테이너도 업계 상황을 고려해 방법을 찾아보겠다"고 답했다. 또 최근 원자잿값 상승 등 가격변동 등에 대해서도 품목에 따라 계약부서와 협의해 상승부분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답변했다.

한전은 이번 공공ESS 사업을 오는 7월까지 준비 완료하고 8월 예비타당성 조사결과가 통보되는 대로 자재발주 및 공사계약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후 10월 사업 착수 후 내년 10월까지 구축을 완료하는 것이 목표다.

한편 이날 공청회가 사실상 설명회였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공청회라고는 했지만 사전에 자료를 통해 통합발주 확정을 못 박았다"며 "그동안 공청회를 통해 업체들이 여러 번 이야기했지만 결국 한전의 의도대로 돼 설명회나 다름없었다"고 말했다.

이에 한전 측은 "통합발주는 한전의 초기 의도가 아니었고 제작사들의 의견을 종합해 나온 결과를 공유한 것"이라며 "명확하게 통합발주로 결론지은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덧붙여 "사전에 제작사에 공유한 공청회 회의자료도 결론이 아닌 설명을 위한 것"이었다며 "예타 전 마지막 공청회도 아니다"고 답변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