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ESS 사업, 올 상반기 내 통과 유력

제주도에 설치된 한 ESS의 모습. (사진은 기사의 특정 사실과 관련 없음)
제주도에 설치된 한 ESS의 모습. (사진은 기사의 특정 사실과 관련 없음)

한전의 공공ESS 사업이 이르면 올 상반기 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 에너지저장장치(ESS) 산업 부흥을 이끈다.

최근 ESS 업계에 따르면 한전이 기획재정부에 재신청한 공공ESS 사업 예비타당성조사는 5월 말 또는 6월 초 결과 발표를 앞두고 있다. 한전과 업계는 지난 조사에서 경제성의 근소한 부족으로 아쉽게 탈락한 만큼 이번에는 통과가 유력한 것으로 보고 있다.

공공ESS 사업이란 한전이 계통 안정화를 위해 언제든 충·방전이 가능한 ESS를 중요 지점에 설치해 주파수를 조절하고 제약을 완화하겠다는 취지에서 나온 사업이다. 신재생에너지 설비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소규모 ESS 설치로 계통 운영이 점점 어려워지는 것에 대비해 송배전망을 직접 관리하고 있는 한전이 전력 변동성과 예비력을 보충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전력 안정성을 높이고 발전기 고장 시 주파수를 유지해 광역정전을 예방하는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한전은 이를 위해 2020년부터 예비타당성조사로 1조1202억원, 1.4GW에 달하는 ESS 구축을 준비했으나 지난해 말 발표에서 예비타당성조사 통과에 실패했다.

따라서 고사 상태에 빠진 민간ESS 대신 공공ESS 사업만 바라보던 업계의 우려는 더욱 커졌다. 하지만 한전은 ESS 사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예비타당성조사 통과를 위해 기존 계획을 수정, 제출해 예비타당성조사에 재선정됐다.

한전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한 번 예비타당성조사에서 탈락하면 재선정조차 어렵지만 지난번 아주 근소한 차이로 탈락해 계획을 수정, 재선정됐다"며 "조사기간이 5개월 이내로 걸리는 것으로 알고 있어 5월 말에서 6월 초 정도를 결과 발표 시점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공공ESS 사업의 지난번 탈락 이유는 경제성 부족이었다. 평가기관이 예측한 신재생에너지 증가에 따른 제약이 한전의 예측보다 적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전은 통과를 위해 ESS의 전체 규모를 1.4GW에서 25% 정도 감소한 1GW 내외로 신청, 사업 비용도 줄인 것으로 알려졌다.

여전히 업계의 관심은 높은 상황이다. ESS 업계의 중소기업뿐만 아니라 해외 진출을 노리고 있는 한화큐셀, LS, 효성, 두산중공업 등 대기업의 관심도 많다는 후문이다.

한전 관계자는 "올해 상반기 내 통과가 유력한 만큼 계속해서 제작사, 사업소들과 공청회를 진행하며 업계와 의견을 조율해가고 있다"며 "통과 발표 이후 바로 사업을 시작해 기존 계획에 차질이 없도록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키워드

#공공ESS #ESS #한전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