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켈, 리튬 등 배터리 핵심소재 가격 폭등
한전 "정확한 가격 산출 위해 업체들 자료 제공해야"

제주도에 설치된 한 ESS의 모습. (사진은 기사의 특정 사실과 관련 없음)
제주도에 설치된 한 ESS의 모습.(사진은 기사의 특정 사실과 관련 없음.)

ESS 업계가 한전이 추진 중인 공공ESS 사업을 놓고 가격 인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올해 급상승한 원자재·소재 가격에 맞춰 예정가격 현실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공공ESS(계통안정화용ESS) 사업이란 한전이 계통 안정화를 위해 충·방전이 가능한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중요 지점에 설치해 주파수를 조절하고 제약을 완화하겠다는 취지로 진행하는 사업이다.

현재 예비타당성조사에 올라가 있으며 이를 통과할 경우 전국에 970MW 를 설치, 최근 침체에 빠진 ESS 시장을 살릴 기회로 꼽히고 있다. 이에 ESS 관련 업체들은 공공ESS 사업에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코로나19 장기화 문제로 ESS를 만들기 위한 원자재와 소재 가격이 최근 급상승해 업체들의 어려움은 점점 더해가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업계는 원자재값 상승을 한전이 공공ESS 사업에 반영해 줄 것을 촉구하고 있다.

한 업체 관계자는 "지난해 '경북 영주 ESS'건만 하더라도 270억원 정도 예산으로도 가능했지만 올해는 배터리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가격이 상승해 350억~400억원 사이의 가격이 형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한국자원정보서비스에 따르면 배터리 핵심소재인 니켈 가격은 2년 전인 2020년 4월 톤당 1만1000달러대였으나 올 4월 현재 3만3000달러로 3배 상승했다. 같은 기간 코발트도 2만9000달러대에서 8만2000달러대로 3배 가까이 올랐다. 탄산리튬은 이보다 더해 2020년 11월 대비 올 3월 기준 10배가 넘게 뛰었다.

이에 사업에 참여할수록 손해가 커지는 상황이지만 업계는 미래 급성장할 ESS 시장을 위해 실적을 유지하기 위한 '울며 겨자 먹기'식 버티기에 사활을 걸고 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사업에 참여하기 불가능한 금액이지만 ESS 시장 침체로 그나마도 할 수 있는 사업은 공공ESS뿐"이라며 "대기업들도 제살깎아먹기식으로 경쟁해 가격을 낮춰 들어오고 있어 그나마 중견·중소 기업은 참여 기회도 없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실제로 업계 내에서는 지난 사업 선정 당시 기업들이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손해를 보며 수주했다는 소문도 파다하다.

이미 고사 직전인 업계 상황으로 수많은 업체가 폐업한 가운데 이번 사업마저 적절한 보상체계가 없다면 국내 기업들이 앞으로 폭발적으로 성장할 전 세계 ESS 시장에서 뒤처질 거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한전은 "자재 가격 상승을 인지해서 대응 방안을 만들기 위해 노력 중"이라며 "다만 정확한 산출을 위해 데이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업체들도 상승분 가격에 대한 자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