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 인플레이션과 부품 조달로 납기 고민
한전 "현 상황 최대한 반영"

한 에너지저장장치(ESS)의 모습. 사진은 기사의 특정 사실과 관련 없음. (제공=전기신문DB)
한 에너지저장장치(ESS)의 모습. 사진은 기사의 특정 사실과 관련 없음. (제공=전기신문DB)

공공ESS 발주를 앞두고 기업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원자재 인플레이션에 기자재 수요 급증으로 부품 조달마저 어려워 수익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최근 한전에 따르면 이달 예타를 통과한 '공공ESS' 사업이 곧 발주를 앞두고 있다.

'공공ESS'는 한전이 신재생에너지 증가 등으로 어려워지는 계통 운영에 대비해 ESS를 중요 지점에 설치, 주파수를 조절하고 제약을 완화하겠다는 취지로 진행되는 사업이다. 총 6개 변전소에 PCS 970MW/배터리 882MWh로 설치가 예정돼 있으며 예산만 약 8000억원에 달한다.

고사 상태였던 ESS 업계는 오랜만에 열리는 대규모 시장에 큰 관심을 가졌다. 하지만 최근 급격한 경제 변화에 대기업은 수익성과 납기, 중소기업은 발주방식을 두고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대기업에 공공ESS 사업은 외국에 진출하기 위한 교두보여서 수익성보다는 실적이 더 중요하다. 다만 시장 변화에 부담감을 느끼고 있다.

ESS 업계 한 관계자는 "배터리와 PCS 등 부품 가격이 크게 올랐고 태풍과 미-중 갈등으로 기자재 수요가 증가해 조달마저 쉽지 않다"며 "인증에도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데, 사업 기한이 이렇게 짧은 상황에서 당장 내년까지 완료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덧붙여 "정확한 금액은 나와봐야 알겠지만 기존 안대로라면 참여를 고민하는 기업이 상당히 많을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국내 배터리 대기업 중 한 곳은 지난 공청회 당시 "사업성이 없다면 공공ESS 사업에 참여하지 않을 수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중소기업은 통합발주 방식으로 여전히 불만이 큰 상황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실적이 중요한 대기업에 금액에서 밀려 사실상 이번 ESS 사업은 포기했으며 컨소시엄 참여를 제안한 다른 기업의 제안도 거절했다"며 "가장 작은 56MW 규모만 해도 대기업이 모두 들어올 예정이라 경쟁이 어렵고 사업에 참여하더라도 수익성을 보장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부품 조달도 어렵고 납기도 짧은 상황에서 1~2개 업체가 수주한다면 내년까지 사업이 완료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한전이 공공ESS의 발주 방식을 법적으로 검토한 결과 일괄계약이 원칙으로 돼 있어 사업 변경 가능성은 낮은 상황이다.

이 같은 상황 변화에 한전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재생에너지 증가로 계통 문제가 심각해져 가는 상황에서 ESS마저 제때 들어오지 못한다면 큰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루빨리 발주를 내고 내년까지 준공을 완료해야 하는 입장이다.

한전 관계자는 "납기와 금액 관련 부분은 한전도 인지하고 있으며 최대한 현 상황을 고려할 예정"이라며 "2023년까지 사업이 마무리될 수 있도록 용량이 큰 순서대로 곧바로 발주를 내고 11월에는 착공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