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웨스팅하우스 사장단 방한 이후 한미 원전동맹에 대한 기대감이 어느 때보다 크다.

원천기술을 지닌 미국, 시공과 주기기 제작에 강점을 보유한 우리나라가 하나의 팀을 꾸려 글로벌 원전 시장을 휩쓸 것이라는 장밋빛 미래를 그리는 언론보도를 쉽게 접할 수 있다.

실제로 한미 원전동맹은 지난 정부 들어 신한울 3·4호기를 포함한 신규 원전 전면 백지화로 긴 수주절벽을 경험한 산업계 입장에서 수십조 단위의 수주 잭팟을 터뜨릴 커다란 기회다.

이참에 미국이 자랑하는 AP1000 노형에 대한 국내 공급망까지 완벽히 갖춘다면 이미 사장된 미국 대형원전 공급망을 우리 산업계가 독식할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큰형님' 미국이 원전 수출길을 열어주는 족족 우리 기업이 과실을 따갈 수 있다는 논리인 셈이다.

일각에서는 더 큰 파이를 얻을 수 있는 길을 너무 쉽게 포기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결국 우리 독자 노형의 수출만이 K-원전 전주기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길이라는 이유에서다.

통상 원전 프로젝트는 80년의 주기를 갖는다고 말한다. 건설 10년에 운영 60년, 해체 10년에 이르기까지 장주기의 사업 기간을 자랑한다. 물론 계속운전을 고려하면 사업 기간은 이보다 더 길어질 것이다.

AP1000 노형을 수출하게 되면 어떤 문제가 있을까. 대표적으로 건설 이후 운영 정비와 핵연료 공급, 해체 등의 발주물량에 대한 우리 기업의 접근이 여의치 않을 것이다.

특히 고부가 가치를 자랑하는 엔지니어링 영역에 들어설수록 독자 수출이 우리 기업에 안겨다 줄 과실은 기하급수적으로 커진다.

가령 계획예방정비 기간에 노후 기기를 교체하는 정도를 넘어 출력 증강 등 지금까지 몇몇 서방 기업이 독점해 온 설계 영역의 파이까지 끌어올 수 있다면 금상첨화일 것이다.

하지만 새 정부의 원전수출 정책을 바라보면 지나치게 원전 수출 자체에 초점을 맞춘 성과 위주의 정책이 아닐까 하는 우려가 든다. 한미 원전동맹이라는 협력의 틀을 토대로 우리 원전 산업계가 보다 큰 파이를 누릴 수 있는 혜안을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