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월 리튬이온배터리 4억7609만달러 적자
對중국 27억6437만달러 적자, LFP 대거 유입 추정
핵심소재 전구체 중국 의존도 높아, 무역보복 취약
"새 정부 출범 후 이차전지 전략 신규화 되지 않아"

리튬이온배터리 및 전구체 1~4월 누적 무역수지 현황 

  수출액 수입액 무역수지
리튬이온배터리 25억191만달러 29억7880만달러 4억7608만달러 적자
└ 對중국 6500만달러 28억2937만달러 27억6437만달러 적자
전구체 985만달러 15억3408만달러 15억2423만달러 적자
└ 對중국 676만달러 14억7718만달러 14억7105만달러 적자

 

 

수출효자라던 리튬이온배터리(이차전지)가 심각한 무역적자를 겪고 있다. 4월까지 누적 적자액은 4억7600만달러이며, 특히 대중국 무역적자액은 27억6400만달러를 기록했다. 다른 나라에 배터리 수출로 벌어들인 돈을 중국산 배터리 수입으로 다 까먹고 있는 것이다. 중국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및 소재 수요가 예상보다 크게 증가하고 있어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 18일 한국무역협회 수출입통계에 따르면 4월 리튬이온배터리(HS코드 8507.60) 수출액은 5억7050만달러, 수입액은 6억6990만달러로 9940만달러 무역적자가 발생했다.

우리나라 리튬이온배터리는 미국, 일본, 베트남, 독일 등으로 많이 수출됐지만 중국에서 너무 많은 배터리가 수입되면서 결국 적자를 기록했다. 대중국 수출액은 1149만달러에 그쳤지만, 수입액은 6억3661만달러로 6억2512만달러 무역적자가 났다.

올해 누적 무역수지는 더 심각하다. 리튬이온배터리의 올해 1~4월 누적 수출액은 25억191만달러, 수입액은 29억7800만달러로 4억7609만달러 무역적자가 발생했다. 특히 대중국 수출액은 6500만달러, 수입액은 28억2937만달러로 무려 27억6437만달러 무역적자가 났다.

중국에서 수입되는 리튬이온배터리는 전기차용 22억752만달러, 에너지저장장치용(ESS) 3억5614만달러 등이다. 중국의 전기차용 리튬이온배터리는 인산철계(LFP)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LFP 배터리가 국내 전기차 시장에 대량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전기차 중 중국산 배터리를 탑재한 모델은 현대차・기아의 코나EV, 레이EV, 니로EV, 포터EV, 봉고EV와 쌍용차의 토레스EV, 그리고 전기버스 등 상용차가 있다.

특히 현대차・기아는 내년부터 1t 경유 트럭의 생산을 중단하고 이를 전기와 LPG 트럭으로 대체할 계획이어서 앞으로 중국산 배터리 수입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배터리뿐만 아니라 소재 품목의 무역적자도 심각한 상황이다. 배터리 양극재의 전 단계 물질인 전구체(HS코드 2825.90)의 올해 4월까지 누적 수출액은 985만달러, 수입액은 15억3408만달러로 15억2423만달러 무역적자가 발생했다.

전구체 적자도 대부분 중국에서 발생했다. 전구체의 대중국 수출액은 676만달러, 수입액은 14억7781만달러로 14억7105만달러 무역적자가 났다. 중국 무역에서 리튬이온배터리와 전구체 품목으로만 4월 누적으로 42억3542만달러, 약 5조6690억원 무역적자가 발생한 것이다. 수출효자라던 명성이 무색해지는 대목이다.

더 큰 문제는 전구체의 경우 중국 의존도가 96%에 달할 정도로 배터리 관련 품목의 중국 의존도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와 중국 간 무역갈등이 벌어질 경우 배터리 관련 품목은 첫 번째 무역보복 수단이 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국내 배터리 및 소재 기업들은 매년 적게는 30~40%, 많게는 100% 이상씩 성장하고 있다. 그래서 배터리는 ‘수출효자’, ‘반도체를 이을 제2의 국가 먹거리 산업’으로 불리고 있다.

하지만 정작 무역수지는 갈수록 적자 폭이 커지고 있다. 배터리셀 생산공장 대부분이 해외에 있고, 원재료 대부분을 중국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결국 배터리 기업의 늘어나는 실적은 중국 산업의 부가가치만 높여 줄 뿐, 국내 산업에는 별다른 파급효과를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배터리 전문가 사이에서는 배터리산업의 국가전략 자체를 다시 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국내 배터리산업 1세대로 꼽히는 박철완 서정대 스마트자동차학과 교수는 "새 정부가 출범하고 산업 정책, 외교 측면의 이차전지 전략 자체가 신규화되지 않았다고 지적한 바 있다"며 "원점부터 재검토해 다시 수립해야 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첨단전략 기술 측면도 다시 짜야 한다. 인력 양성도 산업통상자원부 전략은 틀렸으니 종합적으로 검토 후 새로 짜야 한다. 2003년에도 모든 게 무너져 새로 빌드업한 바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