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전북·전남·경북 등 각양각색 혜택·지원 제공 눈길
수열에너지·새만금 재생E 단지 등 전력공급 대책 마련

KT분당데이터센터 전경.(사진제공=연합뉴스)
KT분당데이터센터 전경.(사진제공=연합뉴스)

미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지자체들의 데이터센터 모시기가 치열하다. 강원도를 비롯해 전라남도, 전라북도, 경상북도 등 여러 지자체가 데이터센터 유치에 뛰어든 가운데 지자체별로 사업자에 대한 다양한 제도적 혜택을 제공하는 한편 데이터센터 사업하기 좋은 환경 구축에도 열을 올리는 모습이다.

각 지자체들의 핵심 정책을 살폈을 때 데이터센터 유치의 핵심은 RE100 달성을 위한 지원으로 풀이된다. 글로벌 기업들의 RE100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데이터센터에도 재생에너지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여러 지원 대책이 마련되는 모습이다.

강원도는 소양강댐의 냉수를 데이터센터의 냉방에 활용, 냉방 부하 83%를 절감하는 수열에너지 활용 방안을 마련 중이다. 수열에너지를 통해 연간 냉방에너지 비용을 160억원 절감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강원도는 기대했다.

다만 제도적 한계는 강원도가 해결해야 할 과제다. 수열에너지는 지난 2015년 신재생에너지 촉진법에 의해 재생에너지로 인정받고 있지만, 냉수는 아직 제도적으로 수열에너지로 인정받지 못하기 때문에 강원도가 최근 제도개선을 위해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강원도는 K-클라우드파크로 명명한 수열에너지융복합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데이터센터 사업자의 운영 환경을 극대화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K-클라우드파크를 중심으로 안정적인 주·예비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변전소 2곳을 유치한다. 이밖에도 지난 2021년 3월 투자선도지구로 지정되면서 건폐율과 용적률 완화 등 특례 및 인허가 지원이 가능하고, 법인세·소득세 3년간 감면과 취득세·재산세 50% 감면 등 다양한 조세감면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재생에너지 입지가 국내에서 가장 뛰어난 전남·전북 지역도 기업의 RE100 달성을 중점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전북은 해상풍력 및 수상태양광 등 3GW 규모의 국내 최대 재생에너지 단지가 조성 중인 새만금을 중심으로 서해안 데이터센터 집적지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새만금은 현재 수상태양광 2.4GW, 육상태양광 0.4GW, 풍력 0.1GW, 연료전지 0.1GW 등 3GW 규모의 재생에너지 단지가 건설될 예정으로 인근에 군장·내초·서군산·동군산·새만금변전소 등 5개 변전소가 설치·운영 중이어서 우수한 전력공급능력을 자랑한다는 게 전북 측의 설명이다.

이와 함께 SK 데이터센터가 새만금 산단 5공구에 설치될 예정으로 관련 인프라 구축에 용이하며, 산단 전용 구역이어서 주변 주거지역과의 마찰도 적을 것으로 전북도는 예상했다.

도에 따르면 새만금산업단지는 균형발전 중위지역에 해당하는 만큼 기업 규모에 따라 설비투자금액의 5~9% 이내의 국비지원과 최대 30% 이내의 토지매입가액 지원 등을 받을 수 있으며, 지자체 보조금도 투자형태와 기업 규모에 따라 5~100억원까지 받을 수 있다. 창업·신설기업을 대상으로 한 법인세 및 소득세 감면 등 조세혜택도 기대할 수 있다.

전남은 글로벌 데이터센터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동부·서부 권역별 집적단지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데이터센터 적용 RE100 및 통신 인프라를 구축해 기업의 육성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KT·NHN 등 주요기업과 투자 협약을 체결한 전남은 첨단 제조업, 정보통신산업, 지식서비스산업 등 관련 기업 가운데 도에 대규모로 투자하는 국내·외 기업은 물론 해외진출기업의 국내복귀 지원에 관한 법률에 해당하는 유턴기업을 대상으로 고용규모에 따라 최대 100억~1000억원까지 특별지원을 제공한다.

전남 데이터산업진흥조례(안)을 제정해 RE100 실현을 위한 송전설비 등 기반시설 일부를 지원하는 한편 RE100 전력 구매 요금 등도 일부 지원할 예정이다.

경북도는 데이터센터 유치에서는 후발주자지만 산업계와 연계한 상생 모델을 통해 실효성있는 지원안을 마련하고 있다.

경북은 지자체(경북도, 포항시)와 지역혁신기관(경북연구원, 포스텍, 포항TP), 산업계(남동발전, 포스코홀딩스, 건설사)가 모두 참여하는 데이터 산업 유치 거버넌스를 통해 지역 산업과 상생할 수 있는 협력적 생태계 구축에 공들이는 모양새다.

분산에너지 연계 데이터센터 집적단지를 조성하는 한편 지자체와 산업이 지속성장하는 모델을 마련하겠다고 도 관계자는 전했다. 이를 위해 데이터센터 최적 입지를 조성하고 지역경제활성화 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데이터센터를 통한 일자리 창출 효과가 기대되는 만큼 지자체들이 유치전에 적극 뛰어드는 모습”이라며 “특히 글로벌 기업들이 요구하는 RE100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느냐가 유치전의 한 축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