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원전 발전량 비중을 크게 늘리기로 하면서 LNG 업계가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기사와 상관 없음. 
정부가 원전 발전량 비중을 크게 늘리기로 하면서 LNG 업계가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기사와 상관 없음. 

 

정부가 탄소중립과 에너지안보를 위해 2030년까지 원전 비중을 기존 계획보다 대폭 늘리기로 하면서 LNG(액화천연가스) 시장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정부는 무탄소, 저탄소 에너지 사용을 늘리기로 하면서 LNG업계는 탄소포집저장활용(CCUS)와 블루수소 사업에 속도를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5일 정부는 국무회의를 통해 새정부 에너지정책 방향을 의결하고 관련 내용을 발표했다. 

정부는 발전량 비중에서 원전을 2021년 27.4%에서 2030년 30% 이상으로 높이기로 했다. 전 정권에서 세운 2030년 원전 비중 23.9%보다 최소 6%p 이상 높아진다.

정부는 "탄소중립과 에너지 안보를 위해 원전 활용도 제고를 정부 정책으로 공식화했다"며 이를 위해 "신한울 3‧4호기 건설을 재개하고, 안전성 확보를 전제로 한 계속운전 추진 등을 통해 비중을 높여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도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김진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전환정책과장은 최근 세미나에서 "탄소중립과 에너지안보를 동시에 지킬 수 있는 에너지는 원전과 재생에너지 뿐"이라며 "선택은 자명하다. (정부는) 이러한 근거 하에서 정책을 수립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전 정권에서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은 2018년 6.2%에서 2030년 30.2%로 대폭 상향된 바 있다. 김 과장 발언에 비춰보면 이 비중은 동결되거나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화석연료 비중은 대폭 감소한다. 새정부 에너지정책 방향에 따르면 국가 1차 에너지 사용량 중에 화석연료 비중은 2021년 81.8%에서 2030년 60%대로 낮아진다. 여기에서 원전과 신재생에너지는 자국 생산 에너지로 계산됐다. 

화석연료 비중은 현재보다 최소 11.9%p에서 21.8%p가 줄어들게 된다. 모빌리티 연료이자 석유화학 원료인 석유의 감소는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석탄은 절반가량 감축된다고 감안하면 화석연료 비중 감소의 상당 비중은 LNG 몫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이를 두고 LNG 업계에서는 "올 게 왔다"는 탄식이 나왔다. 한 업계 관계자는 "원전 비중 확대가 신재생에너지보다 LNG 시장을 잠식할 것이란 전망이 있었는데 현실화 되고 있다"며 "공급시장부터 설비임대시장까지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새로 지어지는 LNG 저장시설은 6건이나 된다. ▲보령LNG터미널 2023년 20만㎘ ▲코리아에너지터미널 2024년 43만㎘ ▲포스코에너지 2024년 20만㎘ ▲통영에코파워 2024년 20만㎘ ▲동북아LNG허브터미널 2025년 80만㎘ ▲한국가스공사 2025년 108만㎘이다. 현재 운영 중인 설비는 1409만㎘이다. 여기에 한전 발전공기업들도 새 저장시설 건설 계획을 갖고 있다.

LNG 업계는 살아남기 위해 CCUS를 통해 저탄소 LNG를 수입하거나 아예 탄소를 없앤 블루수소 생산에 적극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에너지 사용이 많은 기업에게 블루수소와 그린수소 등 청정수소 사용을 의무화하는 HPS(Hydrogen Energy Portfolio Standard) 제도는 LNG 업계의 탈출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민간 발전 1위 SK E&S는 호주 바로사 칼디타 가스전과 동티모르 바유운단 폐가스전을 결합해 포집한 탄소를 매장해 저탄소 LNG 및 블루수소 생산을 준비하고 있다. 세계 LNG 수출 1위국인 미국은 천연가스 생산과 폐유가스전을 활용해 CCS 및 블루수소 사업화를 추진 중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