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다 에너지안보와 탄소중립이 서로 대립되는 용어가 됐을까요."

최근 한 취재원을 만나 에너지 정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던 중 주제가 에너지안보로 넘어가게 됐다. 우리가 유럽발 에너지 위기를 옆에서 지켜보며 깨달은 에너지 산업의 대명제를 되찾아야 한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이 그것이다.

지난 정부에서 탄소중립을 목표로 한 에너지 정책을 수립하며 많은 전문가들의 지적이 에너지안보에 대한 우려였다. 지나치게 환경 중심의 정책을 세우다보니 에너지 산업의 대명제인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 능력을 잃을 수 있다는 의견이 적지 않았다.

극단적으로 재생에너지에 치우진 전원 계획 탓이다. 그러다보니 석탄은 그동안 산업계를 이끌어왔다는 노고를 인정받기도 전에 물러날 계획부터 수립하게 됐다. 그 빈자리를 LNG로 채운다는 계획이지만 그마저도 시한부 처지였다.

많은 전력 전문가들이 '균형잡힌 에너지믹스'를 요구했다. 에너지 공급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변수들로 인해 특정 전원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그 경우 자칫하면 전기를 제대로 쓰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경 중심의 정책 수립 환경 탓에 이들 전문가들의 목소리를 제대로 전달되기 어려웠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 정책은 에너지안보를 뒷전에 뒀다는 인식을 갖게 됐다. 전기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화석연료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내면 마치 환경파괴론자라도 되는 취급을 받았다.

그러나 최근 분위기가 바뀌고 있다. 두 차례 에너지 위기를 겪은 유럽마저도 화석연료 발전 비중이 높아지는 분위기다.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하지 못하면 미래세대를 지키기에 앞서 현 세대조차도 지키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컸으리라.

탄소중립은 에너지안보와 발걸음을 맞춰야 한다. 미래를 위해 재생에너지 등 청정 발전원을 확보하면서도, 현 세대를 보호하기 위한 전원 계획에도 머리를 맞대야 한다. 더 이상 두 가치가 대립해선 안 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