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에나 했던 절전 캠페인을 다시 해야 할 것 같아요."

최근 한 취재원이 심각한 표정으로 전해준 이야기다.

생각해보면 20년~30년 전까지만 해도 우리나라는 쓰지 않는 방의 조명은 꺼두자라던지, 보지 않는 TV 전원을 끄자 같은 절전 캠페인을 학교에서, TV에서, 길거리 곳곳에서 볼 수 있었다.

지난 2011년 순환단전 사태 이후 공급능력 부족으로 벌어진 전력난으로 인해 사무실 온도를 28°C로 맞추자던가, 에어컨을 가동 중인 매장은 문을 닫자는 등의 캠페인 활동을 참 열심히 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시간이 지나 공급능력이 확대되면서 어느샌가 절전이라는 단어는 우리 주위에서 다시 사라진 듯하다.

지난해부터 이어지고 있는 에너지난으로 인해 전 세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올해 초부터 시작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태는 이 같은 어려움을 더 깊게, 더 길게 만들고 있다.

사태가 이정도까지 이어지니 한전의 적자가 점점 커진다. 지난해 5조원의 적자를 봤다는데, 올해는 20조원, 30조원 얘기가 우습지 않게 나온다. 현실감이 사라지는 듯한 숫자다.

따뜻한 봄이 오고 전력수요가 내려갔는데도 불구하고 1년 전에 비해 2~3배 이상 뛴 연료비 탓에 14일 기준 하루평균 계통한계가격(SMP)은 204.44원/kWh를 찍고 있다. 피크때도 보기 힘든 숫자가 따뜻한 봄철에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정부는 아직까지 사태의 심각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대통령 인수위가 원전을 가동하면 전력구매비가 줄어든다는 얘기를 하고 있는 걸 보면 여전히 전기요금을 현실화하지 않아도 이 사태를 컨트롤할 수 있다는 착각에 빠져있는 것 같다.

전기요금을 유럽처럼 몇배고 올라가게끔 할 수는 없다. 그러나 어느 정도는 전기요금을 현실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전기가 언제까지고 저렴하게, 펑펑 쓸 수 있는 것이라는 국민 인식을 점차 개선해야 할 것이다.

자꾸만 말 잘 듣는, 다루기 쉬운 공급 측에서만 대책을 찾으려들지 말자. 우리라고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최악의 위기를 피할 수 있겠나. 현실적인 대안을 찾고, 이 위기를 넘기기 위해 이제는 소비자까지 나서 전 국민이 합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