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뉴스케일 소형모듈원전(SMR) 플랜트 가상 조감도.
미국의 뉴스케일 소형모듈원전(SMR) 플랜트 조감도.

SMR(소형모듈원자로)을 놓고 미국, 캐나다, 유럽연합 등 주요국들이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탄소중립의 핵심수단으로 원전이 각광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국제유가 및 LNG(액화천연가스) 가격이 급등하면서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는 모습이다.

반면 한국은 2012년 SMR 개발에 성공해 표준설계인증까지 받았으나 정부의 소극적인 대응으로 인해 아직도 상용화에 이르지 못했다. 뒤늦게 '혁신형 SMR(i-SMR)' 기술 개발에 나섰지만 결국 상용화를 앞둔 후발국에 추월을 당한 상황이다.

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국 인디애나주는 최근 SMR 건설 관련 법안을 승인하고 사업을 본격화하기 시작했다.

지난 2월 하원을 통과한 해당 법안은 인디애나주유틸리티 규제위원회(IURC)로 하여금 SMR 건설·구매·임차 관련 규정과 청정에너지 지원금 정책을 주정부의 환경관리부와 협력해 2023년 7월 1일까지 제정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법안이 통과됨에 따라 2023년 6월 30일 이후 건설되는 SMR 발전은 청정 에너지로 분류돼 주 단위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이에 인디애나주에서 폐쇄되었거나 폐쇄 예정인 화력 발전소는 SMR과 관련 기반구조물로 전환될 예정이다. 인디애나주에서 2045년까지 폐쇄가 예정된 화력 발전소는 총 19 곳(총 9897㎿)에 달한다.

캐나다 역시 SMR 확대를 위한 정책을 적극 펼치고 있다.

온타리오, 서스캐처원, 뉴브런즈윅, 앨버타 등 4개 주는 SMR 개발과 보급 확대를 위한

전략적 협력안(A Strategic Plan for the Development of SMR)을 공개하고 다섯 가지 우선 목표와 세 가지 SMR 기술 목표를 내놓았다.

다섯 가지 목표에는 세 가지 기술 목표 추진을 통한 ▲SMR 수출국으로의 도약 ▲관련 규제 하 비용과 일정 준수 ▲연방정부 지원 확보 ▲캐나다 원주민 및 시민들의 프로젝트 참여 기회창출 ▲SMR 방폐물 처리를 위한 정부 및 발전사와의 협의가 포함됐다. 세 가지 기술목표에는 각 지방정부가 목표로 하는 시기에 따른 SMR 건설 및 운영이 담겼다.

폴란드에서는 자국기업들이 SMR 건설에 직접 뛰어들었다. 탄소 중립을 위해 에너지 산업의 대전환을 예고하는 폴란드에서 대기업을 중심으로 SMR건설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폴란드 최고 부호로 꼽히는 지그문트 솔로즈(ZE PAK사(社))와 미하우 소워보프(신토스 그린 에너지 사(社))는 SMR을 폴란드에 건설하기 위한 협력을 추진중이다.

폴란드는 에너지 정책 2040(PEP 2040)에 따라 석탄 발전소보다 온실 가스를 절반 정도 덜 배출하는 가스발전소 건설을 늘리고 있다. 그러나 가스발전 역시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어 최근 EU에서 이를 반대하는 의견이 커지고 있다. 이에 폴란드 정부는 SMR 도입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러시아의 경우 세계 최초로 해상 부유식 SMR 상용화에 성공하고 이미 전력을 공급 중에 있다. 러시아는 부유식 SMR인 아카데믹 로모노소프를 통해 2019년 12월부터 극동지역 추코트카(Chukotka) 자치구 전력망에 전력을 공급하기 시작했다.

이처럼 주요국들이 SMR 상용화에 열을 올리기 시작하면서 전 세계에서 71개 SMR 노형(2021년 9월 기준)이 개발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 국립원자력연구소는 2035년까지 전 세계에서 SMR 650~850기 건설이 추진돼 시장 규모가 2400억~4000억 파운드(약 379조~632조원)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한국은 수년전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도 퇴행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는 앞서 2012년에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개발한 SMART 모델로 표준설계인가를 받은 바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도 국내 건설과 상용화, 해외수출을 이뤄내지 못한채로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SMR 개발 열풍이 불기 시작하며서 SMART 모델을 뒤로하고 새로운 노형인 i-SMR 기술 개발에 나선 상황"이라면서 "우리나라가 SMR 시장을 선점할 기회가 있었음에도 탈원전 정책으로 방치해 둔 탓에 지금은 후발주자가 돼 버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