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VDC 기술·산업포럼 킥오프 회의 공동운영위원장 장길수 교수
“DC기술 사장되지 않도록 하는 게 HVDC포럼의 목적”
이호현 실장 “전력망 노후화되고 계통 복잡해 지며 새로운 레이아웃 필요”

이호현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장(오른쪽 첫번째)이 함께 공동위원장직을 맡은 장길수 고려대 교수(가운데)와 
이호현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장(오른쪽 첫번째)이 함께 공동위원장직을 맡은 장길수 고려대 교수(가운데)와 조기선 에너지기술평가원 PD 등 위원들에게 포럼의 역할과 향후 운영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촬영=안상민 기자 

“직류송전(DC) 기술이 사장되지 않도록 하는 게 이번 포럼의 목표다.”

지난 2월 28일 킥오프 회의를 가진 HVDC 기술·산업포럼의 공동운영위원장을 맡은 장길수 고려대 교수의 일성이다.

장 위원장은 이날 한전 아트센터에서 열린 킥오프 회의 모두발언에서 “새로운 기술을 처음 적용하다 보면 어쩔 수 없이 생기는 문제들이 있다. 그런 이유로 인해 기술의 장점을 펼쳐보기도 전에 아예 활용하지 못하는 상황이 오는 것은 문제”라면서 “최근 DC를 적용하면서 발생한 문제가 사회적 이슈가 됐는데, 그런 문제로 인해 DC기술이 사장되지 않도록 하는 게 포럼의 목적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초고압직류송전(HVDC) 기술은 반도체 소자를 이용, AC를 DC로 변환해 송전하는 기술로, 현재 우리나라는 1998년 해남~제주 구간 이후 진도~서제주, 북당진~고덕(1단계) 등 3개의 전류형 HVDC를 운영 중이다. 또 북당진~고덕(2단계), 완도~동제주, 양주 BTB, 신부평BTB, 동해안~신가평(EP 1단계) 등 5개 프로젝트를 건설 중이다.

하지만 2021년 북당진~고덕(1단계) HVDC 상업운전 이후 구간에서 20여 차례의 고장이 발생하는 등 사고가 끊이질 않자 장거리 전력전송 등에 적합한 HVDC를 국내 계통에 적용하는 것은 맞지 않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번 포럼은 이 같은 여론을 불식시키고 민관이 협력해 기술개발, 운영·신뢰도, 산업·국제협력 분과별로 이슈를 선점해 국가 차원의 종합적인 HVDC 거버넌스를 만들겠다는 취지다.

세부적으로 기술개발 분과에서는 전압형 500kV GW급 대용량 HVDC 기술확보 방안 등을, 운영·신뢰도 분과에서는 안정적 계통운영을 위한 중장기 HVDC 설비계획과 고장트렌드 분석을 통한 설비안정 방안 등을, 산업·국제협력 분과에서는 유럽 및 미국 등과의 기술협력과 해외시장 개척 방안 등을 모색하게 된다.

특히 이번 포럼에 따라 정부가 지난 연말 발표한 ‘전력계통 혁신대책’에서도 나왔던 서해안 HVDC(8GW, 500kV)의 구체적인 구성 방안과 설비규격, 제도정비 등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전력계통 혁신대책은 동서를 가로지르는 가로축의 ‘동해안~수도권 HVDC’와 남북을 잇는 세로축의 ‘서해안 HVDC’ 건설이 핵심이다. 

동해안~수도권 HVDC의 준공시기는 오는 2026년인 데 반해 서해안 HVDC의 준공 목표는 한빛 1∼6호기를 통해 원전 발전력이 5.9GW, 신재생에너지 발전력이 58GW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2036년이다.

이 때문에 포럼에서는 향후 입지선정과 함께 사업모델 개발, 제도정비, 기술확보 등 사업추진 기반 마련에 나선다는 복안이다. 

이호현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장은 “재생에너지의 보급 확대, 전력망의 노후화, 계통의 복잡성 문제로 인해서 이제 (계통운영에 대한) 새로운 레이아웃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있다”면서 “현재 동해안~동서울, 서해안 지역에서 추진 예정인 HVDC 사업의 경우 전 세계적으로 관련 투자도 늘고, 기자재 시장도 확대되고 있는 만큼 앞으로 민관이 함께 HVDC 기술과 산업을 육성해 전략산업으로 키워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키워드

#HVDC포럼 #HVDC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