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연, '군용 지상무인차량 개발동향' 발표
지상무인차량 2030년 7.3조 규모로 성장
운용개념 정립·데이터 통신 기슬 개발 등 중요

(제공=한국자동차연구원.)
(제공=한국자동차연구원.)

세계 주요국이 수송, 전투, 정찰 등에 특화된 군용 지상무인차량을 앞다투어 개발 중인 가운데 관련 산업을 선도하기 위해 운용개념 정립과 공용 플랫폼·통신기술 개발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11일 한국자동차연구원이 발간한 '군용 지상무인차량 개발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지상무인차량 시장은 2021년 31억달러(약 4조원)에서 2030년 56억달러(약 7조3000억원)로 확대될 전망이다.

지상무인차량은 사람이 차량에 탑승하지 않은 상태인 원격 조종 또는 자율주행 방식으로 인간이 수행하기 쉽지 않은 고난도 작업을 수행한다. 인명피해 감소 등을 목적으로 원격 조종 또는 자율주행 방식으로 운영된다.

특히 자율주행 방식의 군용 지상무인차량은 정형화된 도로가 아닌 야지(open fields)에서 주로 활용돼 상용 자율주행 기술과 상호 보완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세계 주요국은 수송·전투·정찰 등에 특화된 군용 지상무인차량을 앞다퉈 개발 중이다.

미국 육군의 경우 분대용 다목적지원차량(SMET)과 로봇전투차량(RCV-L·M·H), 수송차량을 위한 리더-팔로워(Leader-Follower) 체계를 시험 중에 있다. 리더-팔로워 체계는 3대의 무인차량을 1대의 유인차량에 연결해 이동하며 자율주행을 위한 AMAS(Autonomous Mobility Applique System)를 적용해 2027년까지 전력화할 예정이다.

호주 육군은 수송차량 종속 주행을 위한 리더 팔로우 체계, 선택적 승무원 탑승 전투 차량 OCCV, 사족보행 로봇을 개발 중이며 이스라엘 육군은 국경 감시 로봇 Guardium, AI 기반 자율무인차량 ROOK 등 지상무인 차량을 운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육군부대를 기동화·네트워크화·지능화하는 '아미타이거(Army TIGER) 4.0' 개념과 연계해 다양한 지상무인차량 개발을 진행 중이다.

또 드론, 로봇, 전투차량 등이 통합된 1개의 아미타이거 시범여단을 운영하고, 2040년까지 모든 보병여단을 아미타이거 4.0부대로 전환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현대로템이 개발한 다목적 무인 차량은 내년 중 시범 운용을 완료한 후 전력화될 예정이고 한화 디펜스의 지능형 다목적 무인차량은 현재 시범 운용 중이다.

국방과학연구소도 미국 지상군 차량 체계 연구소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지형정보가 없는 지역에서 운용할 수 있는 자율탐사로봇을 개발하고 있다.

보고서는 군용 지상무인차량 개발의 중요한 과제는 기술 수준을 고려한 운용개념 정립, 공용 플랫폼과 SW 공통 프레임워크를 통한 비용·시간 절감, 지형 및 기상제약을 극복하는 통신 기술이라고 강조했다. 

정상빈 한자연 첨단기동체계 사업부장은 "야지 자율주행과 상황인식 기술의 수준에 따른 운용개념 정립이 선행돼야 하고 공용 플랫폼 및 공통 프레임워크를 개발해 임무에 따라 용도에 맞는 장비를 탑재해 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면서 "지형과 기상의 제한사항을 극복하고 무인차량과 유인차량 간 데이터 통신을 위한 기술 개발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