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는 누가 키울 거야, 소는."

이제는 폐지된 개그콘서트의 '두분토론'이라는 코너에서 개그맨 박영진이 유행시킨 대사다.

누군가는 꼭 해야 하는 일이지만, 일 할 사람은 나서지 않는 상황을 풍자할 때 쓰였다.

10년도 훌쩍 넘은 유행어지만 그대로 가져와서 최근 에너지 업계에 던져도 될 것 같다.

우리나라는 수정할 여지가 남아있지만 국가온실가스배출목표(NDC)를 이뤄야 하고 세계에 공언한 2050 탄소 중립도 달성해야 한다. 세계에 흐름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기업들의 RE100 이행을 도울 방법도 마련해야 한다.

신재생에너지는 이에 대해 가장 현실적인 해법으로 꼽힌다.

유럽의 경우 2021년 유럽연합(EU) 태양광 발전 설비용량이 전년 대비 34%(6.3GW) 증가하며 '대발전의 해'로 기록됐다. 미국 또한 2026년까지 60.7GW 용량의 풍력 발전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반면 우리는 지난해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량이 전체 발전량 중 약 7.5%에 불과했다. 그리고 당장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기대도 어려워 보인다.

태양광의 경우 최근 세계적인 원자재 가격 폭등으로 공사비가 증가한 가운데 정부가 SMP 상한제를 추진하며 엎친 데 덮쳤다. 제주도에서 발생하는 전력계통의 불안정과 출력제한이 언젠가 육지에서 벌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이처럼 악재만 늘어나는 상황에서 태양광 사업에 뛰어들 사람이 몇이나 될까. 아니면 사업허가까지만 평균 6년이 걸리는 풍력 발전을 믿고 있는 걸까.

일단 현 정부의 해결책은 원전이다. 원전이 친환경 산업으로 분류되도록 K택소노미를 개정하기 위해 지난 4월부터 수정안 준비에 착수하기도 했다. 그럼 원전이라고 매끄러울까.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리라는 큰 숙제가 있다. 이에 비하면 원전 수출이며, 소형모듈원전(SMR) 개발 같은 얘기는 곁다리다.

탄소중립, NDC 실현의 문제는 물론이고 현실적으로 RE100 이행수단이 없다면 대기업들이 국내에 남을지 의문이다.

과연 소는 누가 키울까. 설마 아직도 RE100을 모르는 것은 아니겠지.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