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학회, 올해 추계학술대회서 ‘NRE 리더스 포럼’ 조직
한수원·IRENA 등 포럼 외연 확장 기반 마련
이창근 회장 "글로벌 전력-에너지자원 수급망 제시"

신재생에너지산업의 리더를 결집한 ‘NRE 리더스 포럼’이 2회차를 맞아 외연 확장의 계기를 마련했다. 향후 포럼 활동을 다각화하기 위해 국내외를 망라한 인사를 초청하고, 세계를 아우르는 전력-에너지자원 수급망 개념을 제안했다.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는 8일 제주도 라마다프라자호텔에서 열린 ‘2023 추계학술대회’(제12회 아시아-퍼시픽 신재생에너지 포럼, 2023 AFORE)를 통해 ‘제2차 NRE 리더스 포럼’을 조직했다. 포럼은 학술대회 주제인 ‘2050 탄소중립의 길’을 차용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다양한 전략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했다.
지난 춘계학술대회의 제1회 포럼에 이어 2회차를 맞은 이번 포럼은 신재생에너지 학계 전문가 30여명으로 조직됐다.

이창근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회장을 비롯해 조철희 학회 수석부회장(인하대학교 교수), 학술대회 조직위원장인 김현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재생에너지 연구소장과 학회 부회장으로 활동 중인 이원용 산업통상자원 R&D전략기획단 에너지MD, 김계수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본부장, 곽지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광연구단장, 백영순 수원대학교 교수 등이 자리했다. 또, 학회 전임 회장으로 활동했던 송진수·윤형기·이영호·진우삼 고문 등과 강용혁 자문위원 등이 참석했다. 재생에너지와 원자력의 조화를 논의하기 위해 한국수력원자력 등 원자력업계에서도 다수 임원이 참석해 논의의 깊이를 더했다.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을 비롯해 신호철 한수원 중앙연구원장, 정용성 한수원 본부장 등이 포럼을 찾았다. 기업 가운데에선 육심균 두산에너빌리티 기술혁신원장이 참석했다.
엄지웅 KAIST 녹색성장지속가능대학원 원장, 박환일 STEPI 글로벌혁신전략연구본부장을 비롯해 Pranab Jyoti Baruah 글로벌 그린 성장 연구소(GGGI) 박사, GAyathri Nair 국제 재생에너지기구(IRENA) 그리드 통합 프로그램 책임자 등 독일·호주·카타르·일본 등 각국을 대표하는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이날 이창근 학회장은 포럼 특강을 통해 ‘아시아태평양 슈퍼 에너지 고속도로’ 개념을 제시했다. 아태 에너지 고속도로는 국경을 넘나드는 수소·CO₂ 파이프라인을 구축해 글로벌 재생에너지 수급의 균형을 맞추자는 제안이다.
이창근 학회장은 “에너지 고속도로는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40% 감축하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현실화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라며, “특히, 수소의 국내 수요는 2021년 0.1메가톤(Mt)에서 2030년 2Mt, 2050년 590Mt급으로 급성장하는데, 이를 충족하기 위한 공급의 24%는 해외 조달이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슈퍼 에너지 고속도로는 앞서 송진수 신재생에너지학회 제3대 학회장이 지난 2012년 고안한 전력망 중심의 ‘동북아슈퍼그리드’에서 한 발 나아간 주장이다.
고속도로에는 몽고-한국 구간의 재생에너지 파이프라인, 중국을 통한 육상 CO₂ 파이프라인(기존 LNG선 활용), 호주-싱가폴을 잇는 4GW급 태양광 전력 이니셔티브 ‘아시아 파워링크(AAPower Link) 등을 포괄·통합한 개념이다.
이창근 회장은 “당초 대중에 해당 개념을 공개했을 때에는 소수의 사람만이 관심을 가졌지만, 현재는 필요성과 당위성 측면에서 현실화에 한 발 다가가고 있다”며, “실제로 지난달 G20 서밋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와 유사한 인도-중동-유럽 등을 포괄한 청정수소용 해상-육상 전력 파이프라인을 제안했다”고 말했다.
현재 학회는 슈퍼 에너지 고속도로에 대한 타당성 연구와 함께 글로벌 무대에서 제안의 폭을 넓히고 있다. 지난 9월 G20 국가 연구개발 조직 연례회의에 소개했고, 지난달에는 윤석열 대통령의 사우디아라비아 방문에 동행해 국내 수소·태양광 기술을 네옴시티에 적용하는 방안과,사우디의 저렴한 수소를 국내로 수급하는 안을 검토했다.
이어 “12월에는 태국에서 열리는 CCUS 및 수소기술 논의의 장에 초청받아 K-에너지와 슈퍼에너지 고속도로 개념에 대해 기조연설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 회장은 “가장 큰 장벽 중 하나는 자원과 펀딩 리소스 문제일테지만, 최근 COP와 UNFCC 등을 통해 선진국이 후발주자의 인프라 구축을 위한 다양한 자금 조성을 진행 중”이라며, “이를 전 세계적인 탄소중립 달성에 활용할 수 있는 가장 저렴한 방안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키워드
#아시아태평양 #슈퍼그리드 #슈퍼에너지하이웨이 #슈퍼에너지고속도로 #이창근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한국수력원자력 #황주호 #수소 #이산화탄소 #NDC #탄소중립 #추계학술대회 #학술대회관련기사
- (2023 신재생에너지학회 추계학술대회)황주호 한수원 사장 “원자력·재생E, 탄소중립의 동반자돼야”
- (신재생에너지학회 추계학술대회) 한국형 ‘바람지도’ 나온다…풍력단지개발 이점 높여
- “풍력 후발주자 한국, 해외 선도국 ‘비법’ 배워라”
- ‘전력망 확충 특별법’ 발의, 정부 주도 송전망 구축 힘 받는다
- 전력망 확충 특별법, 수용성 확대 ‘진일보’ 평가
- 에너지기술硏, ‘K에너지’ 실현 위한 국제협력 시동
- “늦어진 에너지전환 정상화 위해 공적역할 늘려야”
- (2024 신재생에너지학회 춘계학술대회) “향후 20년 신성장 동력은 신재생…끓는 물 속 개구리 되지 말아야”
- (신재생에너지학회 2024 춘계학술대회) 학회 창립 20주년 “새로운 동력으로 미래 준비하자”
- (신재생에너지학회 추계학술대회) 이회성 CFA 회장 "엄습하는 기후위기 속에 탄소중립 달성 위한 실질적 방안 찾아야"
- (신재생에너지학회 추계학술대회)10년간 43GW 보급...英 CfD는 어떻게 성공했나
- (신재생에너지학회 추계학술대회)‘아시아·태평양 슈퍼에너지고속도로’…국제 협력 첫 발 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