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수요관리·열에너지 정책 공백 등 구조적 문제 제기
공공·민간 건물, 기후테크, 하이브리드 열펌프 등 현장 사례 공유
전문가 “실질적 탄소중립 추진력은 정책·기술·인재와 현장 교육에 달려”

25일 서울 LW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된 ‘탄소중립을 위한 기후에너지산업 정책 및 성장 전략 세미나’ 참석자들이 발표를 듣고 있다. [사진=강수진 기자]
25일 서울 LW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된 ‘탄소중립을 위한 기후에너지산업 정책 및 성장 전략 세미나’ 참석자들이 발표를 듣고 있다. [사진=강수진 기자]

탄소중립 정책이 속도와 실효성 모두에서 한계에 부딪힌 가운데 감축 성과를 내려면 정부·산업·대학을 잇는 ‘정책–기술–인재’ 삼각 축을 재정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산학연 전문가들 사이에서 제기됐다. 재생에너지와 분산전원, AI·IoT 기반 차세대 에너지관리 기술은 이 삼각 축을 움직이는 핵심 동력으로 꼽혔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이 주최하고 한국EMS협회가 주관한 ‘탄소중립을 위한 기후에너지산업 정책 및 성장 전략 세미나’가 지난 25일 서울 LW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이번 세미나는 정부·지자체의 정책, 산업계의 기술·사례, 대학의 에너지 인재양성 방안을 공유해 산학연관 협력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세계 각국은 저탄소·고효율 에너지시스템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면서 에너지 효율화와 재생에너지·VPP·V2G 등 신산업 육성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김지효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PD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40% 감축, 2038년 최대전력 16.3GW 감축, 전력소비량 110.6TWh 감축을 달성하려면 에너지 소비량 감축과 전력 부하 저감을 위한 수요관리 강화가 필수”라며 “특히 AI 기반 전력망과 전통산업의 디지털화 등 그린 디지털 정책이 탄소중립 가속화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유동철 광명시 녹색건축지원센터장은 건물부문 탄소중립 전략으로 ▲제로에너지건축물 선도화 ▲녹색건축 교육 ▲그린리모델링 추진 ▲건물에너지 관리·평가체계 구축을 제시했다. 광명시는 공공·민간 건축물 모두 의무화 시기보다 빠르게 제로에너지 기준을 적용했다는 점도 소개됐다.

정계수 한국환경공단 과장이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도 현황 및 감축 우수 사례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강수진 기자]
정계수 한국환경공단 과장이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도 현황 및 감축 우수 사례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강수진 기자]

한국환경공단은 탄소중립기본법에 기반한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를 소개했다.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는 중앙행정기관, 지자체, 공공기관, 헌법기관 등 공공기관이 매년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고 지속적으로 감축하는 활동을 이행하는 것이다.

또 콘크리트 산업에서 연간 1억9000만t CO₂가 배출되는 문제를 지적하고 친환경 발열양생 시스템, 공조에너지 절감형 전도성 필터 모듈, 친환경 단차열 페인트 등 다양한 기후테크 기술 사례를 공유했다.

국내 최종 에너지 소비에서 열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48%를 넘지만 관련 정책·목표가 미비하다는 점도 지적됐다. 이에 따라 열에너지 정의와 목표 수립의 필요성이 강조됐다.

분산형 시스템 확산으로 세계적으로 저엑서지 집단냉난방 시스템의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전자기술연구원은 복합센서를 활용한 건물 냉난방 에너지절감 기술을, SClint는 태양열·지열 하이브리드 열펌프 시스템을 소개하며 열에너지 효율화 기술 방향성을 제시했다.

탄소중립 시대 핵심 과제로 꼽히는 차세대 에너지 인력양성 문제도 제기됐다. 현장 실무와 교육 간 괴리가 크고 전문 교수 인력이 부족해 즉시 투입 가능한 전문 인재 확보가 어렵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분산에너지 대응 인재양성 전략, AI 기반 에너지융합 연구·인재양성 등이 제안됐다.

박병훈 한국EMS협회 사무총장은 “탄소중립 시대에 에너지관리시스템(EMS)은 핵심 기술로 평가받고 있지만 산업 활성화는 여전히 더디다”며 “그러나 EMS 수요와 기술은 꾸준히 고도화되고 있고 AI·IoT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에너지 수급 효율을 높이는 방향으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 정책과 산업 현장의 요구가 조화를 이루고 기존 기술을 고도화하는 동시에 새로운 기술을 융합해 기후·에너지 문제 해결과 탄소중립 실현에 함께 나아가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