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신문 오철 기자] 전기차 충전인프라 업계를 취재하다 보면 흔히 “우리는 관급 사업보다 민수에 집중하고 있다”라는 말을 심심치 않게 듣는다.

30여개 사업자들이 보조금을 타기 위해 경쟁하는 환경부, 산업부 보급사업에 들어가지 않고 민간에서 승부해도 자신 있다는 속내가 깔린 멘트다.

면전에서 그 말을 하는 업체도 대부분 조금씩 관급 사업에 참여하고 있었기에 상황에 따라 ‘자부심’ 내지는 ‘허세’ 정도로 판단해왔다.

하지만 이는 착각이었다. 실제 보급 초기 단계를 지나면서 충전료 특례할인 일몰과 함께 보조금 사업에서의 수익구조가 악화되고 있었다. 완속충전기 1개당 200만원을 보조받는데 OCPP 인증받고 영업하고 충전기 구매하고 공사하고 한전에 기본요금 내고 2년간 무상 A/S에 5년간 유지보수하면 금액이 적다는 것이다. 특히 시장은 충전기를 운영하는 서비스 사업자에게 가혹하게 변하고 있었다.

또한 보조금 타 먹으려 무분별하게 충전기를 설치한 나쁜 선례를 남긴 탓에 건설 측도 고객들도 무리하게 받아가려고 어깃장을 놓고 있다. ‘니네는 200만원 받으니까’라는 생각에 공사 측은 더 가져가려 했고 고객은 전기차 보급이 국가 무료 사업인 양 착각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이럴 바엔 민수 시장에서 정가에 맞게 내 제품 팔겠다’는 ‘내물내판’ 생각을 가진 사업자들이 늘고 있다. 업계 관계자도 “최근 들어 보조금 사업에 들어가서 얻는 수익보다 인터넷과 민수 계약으로 얻은 이익이 더 커지고 있다”며 이런 추세를 인정했다.

실제 이런 현상은 반갑다. 제조사가 제품의 안정성을 위해 연구하고 서비스 업체가 다양한 충전 상품을 내놓는 일 말이다. 제품과 서비스의 질이 올라가면 이는 분명 고객에게 돌아가리라 본다.

물론 보조금에 길든 국내 시장에서는 현재로선 어렵다. 하지만 업계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정부가 충전 사업자 육성을 위해 보조금을 버리고 ‘충전 요금으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사장’ 조성에 힘쓰면 가능하다. 그리고 ‘충전 요금 정상화’가 첫 번째 스텝이 되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