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주도 태양광·투자세액공제 유지 전망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일 거행된 취임식에서 미국 우선주의 강화를 표방하고, 경제회복과 보호무역 의지를 역설했다.[사진=연합뉴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일 거행된 취임식에서 미국 우선주의 강화를 표방하고, 경제회복과 보호무역 의지를 역설했다.[사진=연합뉴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폐지를 선언하며 공식 출범했지만 태양광 산업에 대한 악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신행정부 정책 기조 중 하나인 ‘제조업 부흥’의 수혜를 입는 한편, AI용 데이터센터 확대에 대비한 전력공급책으로서 오히려 중요성이 커질 것이란 예상이다.

앞서 20일 취임식에선 화석연료 중심의 에너지 정책 재편을 천명하고, 취임 직후 파리 기후변화협정에서 재탈퇴하는 등 친환경 에너지전환 정책 폐기 행보를 보였지만, 지난 8일 기자회견을 통해 “태양광은 멋진 산업이다. 확대를 멈추지 않을 것”이라 발언한 것이 극명한 예다.

실제 미국 에너지부(DOE)는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도 불구하고 연방정부 주도의 공공 태양광 설비용량을 지난해 7GW에서 20GW로 3배 가까이 늘린다는 계획을 유지하고 있다.

IRA의 일환인 투자세액공제(ITC)의 경우 다소간의 변동이 예상된다. 공화당 강세 지역 다수가 제조업 벨트를 구성하는 만큼 행정부 및 국회 내에서도 전면 폐지에 대해선 부담을 느끼고 있다. 다만 대중국 제재가 기본 전제라는 점에서 IRA를 겨냥해 미국 내 생산공장을 설치한 중국기업에 대한 지원 축소는 불가피한 상황이다. 한화솔루션·OCI홀딩스 등 국내 태양광 기업에도 여파가 적지 않겠지만, 업계예선 이들이 ‘퇴출수순’에 들어선 중국기업의 빈자리를 메우며 반사이익을 얻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