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후 수십건 행정 명령 서명하며 임기 시작
파리 협약 탈퇴 등 친환경 정책 모두 되돌려
IRA 보조금 지급 정지하고 폐지 조치하는 등 적극적인 반환경 행보
멕시코 관세 부과로 국내 차 업계도 당장 영향 받을 듯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후 바뀐 미국 백악관 홈페이지 [백악관 홈페이지 캡처]](https://cdn.electimes.com/news/photo/202501/349495_554920_238.jpg)
도널트 드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직후부터 ‘반(反)환경’ 조치에 착수했다. 파리 기후변화협정 탈퇴는 물론, 손대기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까지 순식간에 무력화했다.
업계에 따르면 트럼트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취임식을 마무리하고 즉시 업무를 시작했다.
첫날 처리한 행정명령만 40여건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임기 중 서명한 행정명령이 220여건, 거의 20%에 해당하는 수준을 하루 만에 집행한 셈이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이전 정부에서 추진한 행정명령 78건을 철회하면서 완전히 다른 노선을 걷겠다는 의지를 강조하기도 했다.
산업 측면에서는 그동안 강화됐던 친환경 정책을 폐기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지난 임기에 이어 파리협정에서 탈퇴하고, 해양 풍력 발전 프로젝트도 재검토하게 했다. 반대로 화석연료 도입 확대하고 남부 캘리포니아 정부가 추진해온 환경주의도 중단하게 했다.
전기차 보조금 지급도 폐지 절차를 시작했다. 전기차 충전소 구축 지원을 비롯해 IRA 자금 지출 중단 시키고, 전기차 보조금 폐지를 검토하게 했다. 2030년까지 전기차 비중을 절반으로 채우겠다던 이전 정부 행정 명령은 폐기했다.
당초 친환경차 구매 의무를 없애는 수준으로 조치할 것이라는 예상도 크게 빗나갔다. IRA 폐지 절차가 복잡한 데다 취임사에서도 옛 정책인 '그린 뉴딜'을 언급하면서 기대가 있었지만, 결국 트럼프 대통령은 가장 강력한 조치를 결정했다.
무역 장벽까지 발빠르게 세우기 시작했다. 연방기관에 무역 관계를 재검토하도록 지시하는 '미국 우선주의 무역 정책'에 서명하고, 중국은 물론 멕시코와 캐나다까지 지목하며 전선을 확대했다. 한미FTA까지도 재논의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국내에서도 기아가 멕시코 공장에서 연간 40만대 수준을 생산, 이중 15만대 정도를 미국으로 수출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현대모비스와 포스코 등 부품 업체들도 멕시코에 투자를 강화해왔다. LS오토모티브도 2019년부터 멕시코 공장을 글로벌 주요 거점으로 가동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