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사·행정명령 통해 원전 확대, 자원개발 의지 밝혀
파리협정 탈퇴·전기차 의무화 폐지, IRA 자금지출 중단 등 지시
“보편관세는 아직 준비 안돼 유예”, 국내 증시선 관련주 요동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예상된 첫 행보에 국내 산업계 역시 일희일비했다. 지난 20일(현지시간) 취임식을 갖고 집권 2기를 시작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사와 행정명령을 통해 자신의 공약을 구체화하기 시작하면서 연관된 국내 산업계가 그 여파를 고스란히 받고 있는 모양새다. ▶관련기사 6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취임식에서 밝힌 취임사에서 그의 선거 구호였던 ‘마가’(MAGA·Make America Great Again·미국을 다시 위대하게)를 재확인하며 미국 우선주의 강화를 표방하고 경제회복과 보호무역 의지를 역설했다.
이후 바이든 정부 때의 조치 78개를 철회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 명령에는 파리기후변화협정 탈퇴 및 유엔(UN)에 보낼 탈퇴 서한도 포함됐다. 특히 ‘미국 에너지의 해방’이라는 제목의 행정명령을 통해 ‘저렴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와 천연자원 개발’을 장려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라고 지시했으며, 전기차 의무화(electric vehicle mandate) 폐지, 2030년 신차의 50% 전기차 보급 목표 폐지 등 소비자의 진정한 차량 선택을 제한하는 규제 장벽을 없애야 한다고 밝혔다.
또 '미국 우선주의 무역 정책' 각서에서 미국무역대표부(USTR)에 미국이 체결한 기존 무역협정을 재검토하고 자유무역협정 파트너 국가들과 "상호적이며 공통으로 유리한 양허"(reciprocal and mutually advantageous concessions)를 얻거나 유지하는 데 필요하거나 적절한 개정을 권고하라고 지시했으며, IRA에 따른 자금 지출을 즉각 중단하라고 지시했다.
다만 그가 공언해 온 보편관세 공약에 대해서는 “아직 준비가 되지 않았다”며 “우리는 그것을 조속히 부과할 것”이라고 밝혀 조만간 계획을 구체화할 것임을 시사했다.
이 같은 소식이 국내 증시에 전해지자 원전과 조선주는 전반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저렴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는 원자력일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됐고, 조선주는 트럼프 취임 전부터 미 해군 함정 재건을 위해 한국 조선업체와의 협력 필요성을 강조한 영향을 받았다.
하지만 파리기후변화협약 탈퇴소식이 전해지자 국내 태양광, 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 관련주는 주가가 급락했으며, 전기차 의무화 폐지 소식은 국내 이차전지 관련주의 낙폭을 키우는 역할을 했다.
수출입 업체들과 직결된 환율 역시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의 경우 다음 달 1일부터 25%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환율은 장중 1443.9원까지 상승했다가 이후 1430원대 중후반에서 거래를 마쳤다. 그러나 시장에선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와 무역정책에 따라 당분간 원·달러 환율이 1450원을 오르내릴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우리 정부가 미 신정부 출범에 대비해 '대외경제현안간담회' 등을 통해 통상·산업 현안들을 지속 점검하고 상황에 맞는 대응 방안을 철저히 준비해온 만큼, 이제부터는 미 신정부의 구체적 정책 변화에 맞춰 체계적이고 신속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