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A 완전 폐기는 어려울 것" 관측 속 현대차 '유연 대응' 나서
전기차·충전 업계 "美 정책 불확실성 증가"...시장 영향 주목

현대자동차그룹 미국 조지아주 전기차 공장 전경 [제공=한국무역보험공사]
현대자동차그룹 미국 조지아주 전기차 공장 전경 [사진=한국무역보험공사]

트럼프 대통령의 전기차 의무화 정책 폐기 선언으로 국내 전기차·충전 업계가 긴장감을 높이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해온 2030년 신차 판매량의 56% 전기차 의무화 정책이 철회될 경우, 최대 수출시장인 미국에서 전기차 확산이 둔화될 것이란 우려에서다.

다만 업계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완전 폐기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다. IRA로 혜택을 받는 미시간, 오하이오 등 공화당 의원들이 반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대신 중국 등 해외우려기업(FEOC) 규제 강화를 통한 보조금 축소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전기차 의무화 정책 폐기에 따른 시장 변화에 대비해 구축했던 '유연한 생산체제'를 더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앨라배마공장의 하이브리드카 생산을 조지아주 전기차 공장(HMGMA)에서도 병행하고 연간 생산량을 50만대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현지 생산 비중을 70%까지 끌어올려 관세 리스크도 최소화한다는 전략이다. 현대차그룹은 HMGMA와 현대차 앨라배마공장, 기아 조지아공장을 통해 연간 118만대 생산체제를 구축할 방침이다.

충전 인프라 업계는 IRA의 세부 프로그램인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지원(NEVI) 보조금과 주정부의 다양한 지원 정책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다만 연방정부의 보조금 축소 가능성에 대비해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