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산업부, 부유식 해상풍력 적극 지원 약속
국회, 풍촉법 발의 준비…세계 최대 해상풍력 단지 ‘기대’
국산 기자재율 67%, 울산에 37조 투자 계획
대규모 자본 투입, 불확실성 줄이는 구체적 정책 내놔야
LCOE 낮추기 숙제, 외산 공급망에 베타적 자세 ‘안돼’
![김두겸 울산광역시장이 13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울산부유식해상풍력발전 포럼’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안상민 기자]](https://cdn.electimes.com/news/photo/202406/338573_541101_2852.jpg)
그간 침체됐던 울산의 부유식 해상풍력 산업이 중앙 정부와 지자체 지원을 등에 업고 반등할 것으로 기대된다. 세계 유례없는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가 울산 앞바다에 들어설 수 있을지 주목된다.
지역 개발사 모임인 울산부유식해상풍력발전협의회(이하 부유식 협의회)는 13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500여 명의 산업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울산부유식해상풍력발전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김두겸 울산광역시장과 정경록 산업통상자원부 국장 등이 부유식 해상풍력 보급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 지원을 약속했다.
현재 울산 바다에서 추진 중인 부유식 해상풍력을 단지는 ▲1.26GW 문무바람 부유식 해상풍력 ▲1.13GW 한국 부유식 이스트블루파워 해상풍력 ▲1.5GW 해울이해상풍력 ▲0.8GW 반딧불 해상풍력 ▲1.5GW 울산 귀신고래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등 5개 프로젝트다. 이 사업들은 현재 환경영향평가 본협의를 진행 중이다. 오는 7월까지 환경영향평가 본협의를 마치고 하반기 입찰을 노린다는 계획이다.
그간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사업이 정체됐던 원인으로는 정부와 지자체의 미흡한 지원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꼽힌다. 고정식 해상풍력에 초점이 맞춰진 정부 입찰 제도와 울산시의 보급 속도조절론이 맞물려 사업이 지연돼 왔다. 이에 이날 포럼에서 약속된 중앙 정부와 지자체 지원 약속은 사업 장벽을 낮추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두겸 울산광역시장은 “부유식 해상풍력이 성공하기 위해선 지자체의 공유수면 점사용허가와 주민수용성 등이 필요한데 그간 이 사업이 지역 경제에 도움이 된다는 확신이 없어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해상풍력을 통해 산단 기업에 재생에너지를 공급하고 연관 산업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가 가능한 것으로 보고 앞으로 원만하게 사업이 나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정경록 산업통상자원부 국장은 “부유식 해상풍력은 대단지로 재생에너지 공급이 가능하고 연근해보다는 밀도 높은 바람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우리는 부유체를 만들 수 있는 조선 기술과, 철강 타워, 케이블 기술을 가지고 있다. 세계에서 대규모 부유식 해상풍력 성공 스토리가 나온다면 한국이 될 것이다. 산업부에서도 부유식 해상풍력 개발을 위해 필요한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소희 국민의힘 의원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안상민 기자]](https://cdn.electimes.com/news/photo/202406/338573_541102_2955.jpg)
김소희 국민의힘 의원은 “정당 기후공약 안에 해상풍력 보급을 위한 방안들이 담겨 있다. 해상풍력 산업의 성공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지자체장의 리더십이다. 울산의 해상풍력 보급에 대한 의지가 굉장히 높고 우리나라가 에너지전환을 추진하는 만큼 국회도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조금 늦었지만 국회에서도 지난 국회에서 폐기된 법안들을 재발의 할 예정인데 산업계에서도 한목소리를 내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예상 국산 기자재 비율은 64%…37조 투자 기대
![이날 행사에 참여한 500여 명의 청중들이 발표를 청취하고 있다. [사진=안상민 기자]](https://cdn.electimes.com/news/photo/202406/338573_541103_3334.jpg)
울산에서 6GW 규모의 부유식 해상풍력 단지가 보급되면 단시간의 재생에너지 보급효과뿐 아니라 경제적 효과도 기대된다. 국내 공급망 육성, 제조공장 유치, 전문 인력 양성 등 상당한 낙수효과가 기대된다.
먼저 부유식 해상풍력 단지는 15MW 이상 대규모 터빈을 사용하는 만큼 터빈은 외산 제품 사용이 전망된다. 부유식 해상풍력 터빈 개발 경험이 있는 베스타스가 유력한 후보로 꼽힌다. 아직 구체적인 계획은 나오지 않았지만 총 6GW 사업은 올해 입찰 결과에 따라 제조 공장 유치도 검토가 가능한 규모다.
또 타워와 하부구조물, 케이블 등은 국산 제품이 유력하다. 하반기 풍력 장기고정가격계약입찰에서 고정식 해상풍력 대비 LCOE가 높은 부유식 해상풍력 단지는 국산 공급망 사용을 통해 가산점을 노려야 한다. 국내에서 수급이 가능한 제품은 최대한 국산을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중 케이블의 경우 국내 최초로 다이나믹 케이블을 사용해야 하는데 국내 기업의 기술 역량이 부족하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이에 울산 개발사들은 66kV 내부망은 다이나믹 케이블을 사용하고 외부망은 고정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 문제를 해결한다는 방침이다.
![홍성민 KPMG 상무가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사회경제적 효과 분석'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안상민 기자]](https://cdn.electimes.com/news/photo/202406/338573_541105_345.jpg)
이날 발표된 홍성민 KPMG 상무의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사회경제적 효과 분석’에 따르면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개발사들이 예상하는 국산화 비율은 64%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부유식 해상풍력 단지 총 투자비는 2059년까지 62조5648억원으로 예상돼 국산 비중을 적용하면 36조7257억원이 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홍 상무는 “부유식 해상풍력 프로젝트는 전체 사업기간인 2019년부터 2059년까지 생산유발효과 65조원, 부가가치유발효과 28조원, 고용유발효과 27만명의 경제적 효과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풍력 후발주자 韓, ‘한판 뒤집기’에 필요한 지원은
![최덕환 한국풍력산업협회 실장이 패널 토론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안상민 기자]](https://cdn.electimes.com/news/photo/202406/338573_541106_3431.jpg)
김종배 울산대학교 교수를 좌장으로 ‘울산 부유식해상풍력,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 것인가’를 주제로 패널토론도 이어졌다.
최덕환 한국풍력산업협회 실장은 “부유식 해상풍력 개발사가 주로 해외 업체인 만큼 REC 가중치가 더 높은 부유식 해상풍력을 보급하는 데 어떤 명분이 있는지 지적이 나올 수밖에 없다. 최근 정부에서는 부유식 프로젝트를 바로 입찰에 참여시켜야 할 것인지, 국내 공급망이 따라올 수 있도록 속도조절을 해야하는 지 고민이 있다. 이 사업이 어떤 경제적 가치가 있는 지 따져보고 구체적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이같은 혜택을 줄 수 있는 명분과 근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승문 에너지경제연구원 박사는 “최근 프랑스에서 상업 규모의 최초 부유식 해상풍력 입찰을 했는데, 가격이 많이 하락했다. MW당 86~87유로에 낙찰됐는데 이는 상한가의 절반가격이었다. 우리나라는 아직 부유식 해상풍력이 비싼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비용을 낮출 수 있고 국내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을지 고민이 필요한 시기다. 해상풍력 특별법을 제정할 것인지, 한다면 기존 사업자의 권리를 어떻게 할 것인지 등을 빨리 정리해 줘야 할 것이다”라고 전했다.
![패널 토론을 진행 중인 모습. [사진=안상민 기자]](https://cdn.electimes.com/news/photo/202406/338573_541107_3451.jpg)
이상래 KR(한국선급) 팀장은 “현재 국내 풍력 산업은 보급 속도가 너무 느려 설치용량으로는 태국, 베트남 보다 못한 수준이다. LCOE를 따져보면 최초 해상풍력 단지인 탐라는 250원이었고 이후 서남해는 280원이었다. 한림은 300원이다. 상식적으로 LCOE는 낮아져야하는데 올라가고 있다. 다만 지난해 입찰에 선정된 완도금일은 200원으로 예상된다. 공급망 선정의 자유가 이같은 차이를 갈랐다. 풍력의 발전단가는 앞으로 낮아져야하고 이를 위해선 외국의 자본과 국내 기술이 융합될 수밖에 없다. 외국 기업에 너무 베타적으로 접근하지 않고 우리가 할 수 있는 분야에서 강점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