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차 전기본 총괄위원회 실무안 브리핑
2038년 재생E 목표치 120GW 중 풍력에 40.7GW 할당
2027년까지 14.7GW 추가 보급돼야 계획 달성
풍력 장기고정계약 물량도 매년 3.6GW 이뤄져야
![한림해상풍력 현장. 사진은 기사의 특정사실과 연관 없음. [사진=안상민 기자]](https://cdn.electimes.com/news/photo/202405/337931_540335_348.jpg)
정부가 재생에너지 보급 목표를 포함한 11차 전력기본수급계획(전기본) 초안을 발표하면서 풍력 업계가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다. 2030년까지 풍력과 태양광을 합쳐 65.8GW를 공급하겠다던 기존 10차 전기본보다 6GW 가량 많은 72GW 규모의 보급 계획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총괄위원회는 5월 31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브리핑을 갖고 오는 2038년까지 원전·신재생 발전량 비중을 68.5%까지 늘리고, 석탄발전을 10% 까지 감축하는 내용의 ‘11차 전기본’ 실무안에 대해 설명했다.
전기본은 국가 중장기 전력수급의 안정을 위해 전기사업법 제25조에 따라 수립하는 행정계획으로 향후 15년 간의 국가 에너지 정책을 엿볼 수 있는 지표다. 본안 발표에 앞서 공개된 이번 실무안에는 원전과 함께 재생에너지를 국가 에너지 정책의 양대 주축으로 삼겠다는 정부 의지가 담겼다.
특히 지난해 10차 전기본이 발표되고 나서도 풍력 보급이 저조했던 탓에 정부 시나리오 상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은 2030년까지 61.6GW가 보급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이 시나리오 대비 11GW 규모를 인위적으로 높여 72GW를 보급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실무안에 따르면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18.3GW의 풍력 설비를 공급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 10차 전기본에서 계획한 16.4GW 대비 12% 가량 늘어난 규모다.
현재 국내에서 확정된 풍력설비는 2023년 기준 상업 개시된 1.9GW 외에 지난 2022년, 2023년 풍력 장기고정가격계약 입찰에서 낙찰된 용량 1.7GW를 합쳐 3.6GW 정도다. 착공 기간을 고려하면 늦어도 2027년까지 14.7GW의 설비용량이 추가 보급돼야 전기본 계획을 달성할 수 있다.
이는 매년 하반기 실시하는 산업부 풍력 장기고정가격계약 입찰에서 해마다 3.6GW 규모의 입찰이 이뤄져야 가능한 수치다. 지난해 입찰에서 낙찰된 1.6GW의 2배가 넘는 물량이 매년 낙찰돼야 한다는 의미다.
이에 당장 올 하반기 장기고정가격계약 입찰을 준비 중인 물량 중 다수가 낙찰을 받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올해 육상과 해상을 합쳐 4GW가 넘는 물량이 입찰을 준비 중이다.
특히 이 중 다수 물량은 울산에서 부유식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준비 중인 현장으로 LCOE 하락을 유도하는 정부의 입찰제도에서 상대적으로 불리할 것으로 전망돼 왔다. 이번 11차 전기본에 담긴 재생에너지 보급 목표를 달성하려면 대규모 부유식 해상풍력 단지 개발이 필수인 만큼 어떻게 비싼 부유식 현장을 끌어안을 수 있을지 정부 고민이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11차 전기본에 따르면 정부는 오는 2038년까지 재생에너지 120GW를 보급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중 40.7GW를 풍력에 할당했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전기본은 올해부터 연간 6.6GW의 재생에너지 보급 계획을 담고 있다”며 “재생에너지 보급은 지난 2020년 4.6GW를 보급한 것이 최대 실적인 만큼 연간 6.6GW는 매우 도전적인 수치”라고 말했다.
풍력 업계 관계자는 “이번 11차 전기본에 확실한 재생에너지 보급 의지가 담긴 만큼 기대감이 크다”며 “전기본 본안에 업계가 공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행안이 담기길 기대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