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다 규모 급속·초급속 충전 인프라 투자·운영
글로벌 자본시장 경색 속 1200억원 규모 투자 유치 성공
포스트 밸류 4600억원...3년 만에 기업가치 9배 성장
전기차 선진국 및 신흥 시장에서 K-전기차 충전 붐 주도

대영채비가 구축한 초급속 전기차 충전소. (제공=대영채비)
대영채비가 구축한 초급속 전기차 충전소. (제공=대영채비)

국내 1위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전문 기업 대영채비(대표 정민교)는 지난 2016년 설립 이래 국내에서 유일하게 충전기 개발, 제조, 설치, 유지보수, 운영 및 플랫폼이라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 관련 모든 영역을 원스톱으로 제공하고 있는 기업이다.

채비는 지난해에 이어 2023년 환경부 브랜드 사업 1, 2차에 최다 선정되며 가장 앞선 충전 서비스 기업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고객들의 실수요가 큰 급속 및 초급속 충전 네트워크에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초급속 중심 8000여기의 충전 인프라를 구축해 국내 1위 전기차 충전 사업자로서의 지위를 굳건하게 하고 있다.

특히 최근 간판급 스타트업들이 투자 조달 실패 및 기업가치 하락을 겪는 상황에서 기존 투자자인 스틱인베스트먼트로부터 600억원의 추가 투자와 KB자산운용으로부터 600억원의 신규 투자 등 총 1200억원 상당의 투자 유치에 성공하는 등 지속적인 기업가치 상승을 보여주고 있어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 투자를 통해 채비는 Post Value 기준 약 4600억원의 기업가치를 인정받게 되는 것(Pre Value 3500억원)으로, 2019년 11월 첫 외부 투자 유치 후 3년여 만에 기업가치가 9배 이상 성장했다.

채비는 이제 국내 시장에서의 선두 사업자로서의 경험을 발판 삼아 글로벌 사업을 적극적으로 공략,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올해 초 아시아 최초로 미국의 정부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캘리포니아 전기자동차 인프라 프로젝트(CALeVIP)'에 충전 서비스 사업자 및 인프라 공급사로 동시 선정됐고 5월 미국 경제사절단 참여를 통해 글로벌 전기차 제조사 시총 3위인 NIO(웨이라이)와 공식 충전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일본에서도 보조금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일본 차세대자동차진흥센터' 대상에 등재되는 지속적인 성과를 올리고 있다.

아세안 등 신흥 시장에서의 성과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채비는 지난 11일 인도네시아 에너지기업 PT. Indika와 급속 충전기 공급 계약 및 현지 전기차 충전기 생산 기반 구축 관련 협약을 체결했다. 올해 안에 급속충전기 100기 수급과 함께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 1000개소 설치를 위한 현지 생산 시설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현지 충전기 생산 및 충전소 구축·운영을 병행하여, 향후 동남아 시장 진출의 허브로 삼을 계획이다.

아울러 사우디 최대 규모 충전사업자인 iCharge와 사우디 전역을 대상으로 한 급속·초급속 충전기 구축 사업에 2023년 내 300만불 규모의 충전기 수출을 확정하고 2025년까지 500기 이상의 급속·초급속 충전기의 공급과 운영 지원을 진행할 예정이다.

채비는 향후에도 적극적인 R&D 투자를 통해 충전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지속적인 충전 인프라 확대와 더불어 혁신적인 충전 서비스 제공을 통해 대한민국의 충전 서비스가 글로벌 시장을 선도해 나갈 수 있도록 박차를 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