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수요 폭증 속 전력·입지·RE100 대응 전략 고민
![2025 데이터센터 구축 전략 세미나 포스터. [제공=세미나허브]](https://cdn.electimes.com/news/photo/202504/353799_560353_1940.png)
AI와 클라우드 기술의 눈부신 발전 속에 데이터센터 산업이 대대적인 변화를 맞고 있다. 이에 대응하고자 세미나허브는 오는 6월 13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2025 데이터센터 구축 전략 세미나’를 개최한다.
국내 데이터센터 시장은 규모 면에서 가파른 확장을 이어가고 있다. 한국데이터센터에너지효율협회 자료에 따르면 국내 상업용 데이터센터는 2023년 40개(전력수요량 540MW)에서 2027년 74개(1850MW)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전력 용량 기준으로는 3배 이상 늘어나는 셈이다.
글로벌 시장도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업타임 인스티튜트 2024년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적으로 계획 및 추진 중인 초대형 데이터센터 프로젝트는 총 3880억 달러(한화 약 522조원)에 달하며, 이들 프로젝트가 모두 완공될 경우 총 6만3000MW(63GW) 이상의 전력이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데이터센터가 글로벌 에너지 수요의 중심축으로 부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성장의 이면에는 현실적인 과제도 적지 않다. 수도권의 전력공급 제한과 환경 규제, 고효율 설계 요구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신규 센터 건립에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다. 이에 따라 지방 지역에 신규 입지를 확보하는 움직임과 재생에너지 기반 PPA(Power Purchase Agreement) 도입이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정부는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과 RE100 대응 정책을 통해 이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해외 시장 역시 냉각 기술, ESG 기준, 자동화 기반 운영 최적화를 중심으로 전략을 재편하고 있다.
세미나허브는 이러한 산업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대응해, 기술·정책·투자 트렌드를 입체적으로 다루는 세미나를 기획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데이터센터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실질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다채로운 발표가 예정돼 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국내 데이터센터 동향 ▲데이터센터 입지 전략과 개발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트렌드 ▲글로벌 데이터센터 시장 동향 ▲데이터센터 투자시장 분석 ▲AI 컴퓨팅 전력 및 발열 증가에 대응한 냉각 인프라의 진화 ▲AI 데이터센터의 운영 효율화를 위한 DX 기술 ▲데이터센터 지방 신규 입지 확보 및 분산에너지 특구 정책 ▲고집적 데이터센터 디자인 전략 ▲데이터센터 RE100과 재생에너지 PPA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현업 실무자와 전문가들이 주요 발표를 맡아 통찰을 공유할 예정이다.
세미나허브 관계자는 “데이터센터는 더 이상 단순한 저장 공간이 아니라, AI 시대를 떠받치는 국가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다”며 “이번 세미나는 기술, 입지, 에너지, ESG 등 다양한 측면에서 데이터센터 전략을 고민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세미나는 6월 10일까지 사전 등록할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세미나허브 홈페이지 또는 유선 문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관련기사
- 세미나허브, 분산E 신사업 창출 논의한다...재생E·VPP 총망라
- 세미나허브, 청정수소 발전·연료전지 활용 세미나 개최
- [도심에너지포럼]서울시 ‘기후테크’, 노원구 ‘탄소중립 신도시’...지자체별 넷제로 해법 이목 쏠린다
- 도심 탄소중립, 지능형 에너지로 푼다...고려대-에너지융합協 기술포럼 개최
- 한국RE100컨퍼런스, 기후위기·통상환경 대응 머리 맞댄다
- “변화하는 전력시장, 대응방안 어디에”...세미나허브, 분산화 속 해법 모색
- RE100 실질 전략 한자리에…세미나허브·RE100협의체, 기술 전략 컨퍼런스 개최
- 비개발자도 하루 만에...세미나허브, 실무형 ‘ChatGPT 활용 클래스’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