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담부서 설치로 첨단산단 전력수요와 기업·주민·산업 대응
자체 RE100 인증 시스템 통해 생태계 활성화 뒷받침
서해안·평화경제벨트서 4GW급 신재생E 보급

경기도는 '기업 RE100'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RE100 특구를 통해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 [제공=경기도.]
경기도는 '기업 RE100'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RE100 특구를 통해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 [제공=경기도.]

경기도는 한발 빠른 적극 행정으로 RE100 및 분산에너지 활성화에 힘쓰고 있다. 도내 첨단산업특화 국가산단에 필요한 청정-분산전원 확충을 위해 전담 부서를 설치하는 등 만반의 준비에 나서는 모습이다. 자체적인 RE100 인증 시스템과 이행 정책을 마련해 도내 기초 지자체는 물론 기업, 가정 등의 자발적인 재생에너지 보급 확산 참여를 이끌어내고 있다.

대표 정책으로 RE100 특구가 추진되고 있다. 도가 주도하는 계획입지제도 아래 태양광, 풍력, 조력, 수소 등을 망라한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집적단지를 조성하는 내용이다. 이곳은 RE100 기업수요를 우선 고려해 공급하는 동시에 주민이익공유형 사업으로 추진돼 분산에너지의 취지를 살렸다.

RE100특구 중 시흥-안산-화성-평택을 잇는 서해안벨트는 대규모 유휴부지를 활용해 육상·수상태양광과 해상 풍력, 조력, 수소발전 클러스터 등을 조성할 예정이다. 파주-포천-연천 일대의 평화경제벨트는 영농형 태양광을 중심으로 공유부지 및 산단 등 태양광, 수소 발전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두 벨트의 발전설비량은 4118.34MW에 달할 전망이다.

지역 내 분산에너지 전력거래를 활발히 할 경기RE100 거래 플랫폼도 마련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발급이 불가능했던 자가소비형 태양광의 인증·거래를 추진해 기업들의 RE100 이행에 도움을 줄 예정이다.

공모를 통해 지역 특성에 맞는 에너지 신산업 사업모델을 발굴하는 ‘경기도 RE100 선도사업’도 궤도에 올랐다. 지난해에는 도내 9개 시·군에서 2.2MW급 태양광발전설비와 250kW급 전기차충전시설 등 16개 사업이 진행됐고, 올해는 도민·민간에서 주도하는 원거리 VNM(가상상계) 등 에너지거래 활성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경기도는 2020년 기준 58.2%의 전력자립률을 기록한 가운데 분산에너지 의무비율 달성을 위해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30%까지 상향할 계획이다. 이를 발판 삼아 온실가스 배출량도 2026년까지 22%(약 3200만tCO₂eq)를, 2030년까지 40%(5800만tCO₂eq)를 감축한다는 목표다.

신재생에너지 보급 활성화를 위한 각종 규제 개선 활동에도 앞장서고 있다. 12개 시·군은 지난해 9월 단계적으로 이격거리를 폐지하기로 합의했고, 지난달에는 도민 서명을 바탕으로 보급 확대 기반이 될 ‘RE100 3법’ 개정안의 입법을 건의했다. 해당 3법에는 발전비중 및 이격거리 폐지를 명문화해 경기 RE100 비전을 실현할 ‘신재생에너지법’을 비롯해 ▲토지복합 이용을 통해 농촌 RE100을 활성화할 농지법 개정안 ▲산업단지개발계획에 신재생에너지 설치계획과 지붕 태양광을 포함하는 산업입지법 개정안 등이 담겼다.

이처럼 적극적인 정책 기조는 즉각적인 효과로 돌아오고 있다. 정부의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축소와 예산 삭감, 고금리·고물가 영향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경기도 내 상업용 태양광 설비 용량은 전년 대비 18% 증가했다. 이는 신규 보급량이 8% 감소한 전국 실적과 대비되는 대목이다.

또 공공·기업·도민·산업 등 각 주체별 RE100 이행안도 성과를 거두고 있다. 우선 작년 5월 기본계획을 수립한 공공 RE100은 공유부지 이격거리 규제 폐지 합의를 시작으로, 공공용지 태양광 보급의 첫발을 뗐다. 공공용지 51곳에 총 13MW급 주민참여형 태양광발전소 설치를 추진한 가운데 올해 2월에는 공공 RE100 1호 발전소인 북부청사 태양광을 준공했다.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집적단지의 요람이 될 산단 RE100을 위한 구상은 ‘기업 RE100’을 통해 실현 중이다. 총 4조원에 이르는 2.8GW급 민간투자 유치를 추진 중인 가운데, 작년 11월 삼성전자와 재생에너지 공급 협약을 체결했다. 1호 RE100 산단인 ‘화성 H-테크노밸리’ 조성을 통해 42MW급 신재생에너지를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자체적으로 기후대응기금을 에너지 융자 등에 활용하는 1270억원 규모의 기금 사업도 마련했다.

분산에너지의 직접적인 수혜를 입을 도민을 위한 RE100 정책도 병행하고 있다. 200% 증액한 도비를 바탕으로 월 7만원의 전기요금 절감효과가 기대되는 주택 태양광을 지원하는 것이 그 예다. 지난해와 올해는 총 1만3000가구에 36MW급 재생에너지 설비 확충을 지원하고 있고, 도민의 기후행동을 인센티브로 제공하는 ‘기후행동 기후소득’도 제공한다.

이밖에 기후에너지 데이터를 ‘과학행정’에 활용해 신산업 성장 기반으로 연계하는 산업 RE100도 추진 중이다. 작년 12월에는 광역 도시생태현황을 기반으로 기후·에너지 분야 초정밀 공간 데이터를 구축하는 경기 RE100 플랫폼 설계에 착수했다. 또 1030억원 규모의 탄소중립 펀드는 금융지원을 통해 기후테크 스타트업 100개를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