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전보조금 대상 업체 완속 40개·급속 28개 선정
보조금 예산 역대 최대...사업자도 13개사 더 뽑아
신규 진입 30개사...시장 둔화 속 기대 커
급속 대기업 비중 57%로 급증...완속은 30%
화재예방형·플랫폼 서비스 강화도 주목
![안산시에 위치한 전기차 급속 충전소. [사진=브라이트에너지파트너스]](https://cdn.electimes.com/news/photo/202403/333625_534963_4435.png)
환경부가 지난 5일 정부 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는 전기차 충전사업자를 선정했다. 올해는 예산이 3700억원이 넘게 책정된 만큼 충전기를 설치할 사업기관도 지난해보다 13곳이나 더 뽑았다. 특히 대기업의 약진이 두드러졌으며 처음 사업자로 선정된 기업들이 다수 포진되는 등 여러 특징을 보였다. 이번 환경부 전기차 충전시설 보조사업 사업수행기관 선정 결과를 통해 읽혀지는 충전 정책 방향을 5개 키워드로 짚어봤다.
◆역대급=올해 전기차 공용 충전시설 설치 보조사업 예산은 그야말로 ‘역대급’ 이라는 평가를 받을만하다. 환경부는 예산을 전년 대비 42% 증가한 3715억원으로 늘렸다. 환경부가 직접 구축하는 충전기 예산까지 합치면 올해만 전기차 충전시설 구축에 4315억원이 투입되는 것이다.
급속충전시설에는 2175억원이 편성됐다. 지난해 1425억원보다 무려 750억원이 증액됐다. 완속충전시설에는 기존 충전기 740억원, 화재예방 충전기 800억원 등 총 1540억원이 책정됐다. 여기서 지역별 무공해차 전환 브랜드 사업에 편성된 200억원을 제외하고 나머지 1340억원은 모두 공용 완속충전 시설 ‘직접 신청 보조사업’으로 편성됐다.
![2024년 전기차 충전시설 민간보조사업 지원 유형별 예산(세부 내역). [사진=환경부]](https://cdn.electimes.com/news/photo/202403/333625_534964_450.jpg)
예산이 ‘역대급’인 만큼 해당 예산으로 충전기를 구축할 사업자 수도 역대 최다로 선정됐다. 환경부는 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는 사업수행기관으로 완속에서 40개사, 급속에서 28개사를 선정했다. 완속 30개사, 급속 25개사를 선정했던 지난해와 비교해 각각 10개사, 3개사가 각각 늘었다. 이 같은 환경부의 양적 확대 노선은 충전 인프라를 빠르게 보급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새 얼굴=올해 공용 전기차 충전시설을 구축할 사업수행기관 리스트에는 지난해에는 없던 업체들이 완속에서 20개, 급속에서 10개나 된다. 자세히 살펴보면 완속에서는 지난해 이름을 올렸던 10개사가 탈락하고 20개사가 새로 진입했다. 새 업체 비중이 50%나 되는 셈이다. 급속은 지난해 선정됐던 업체 중 7개사가 탈락하고 10개사가 새로 선정됐다.
환경부는 새로 선정된 업체들에 상당한 기대를 걸고 있다. 전기차 수요 둔화에 따라 충전시장에도 영향이 예상되는 가운데 운영 충전기 수가 적은 신생 업체가 수익 모델을 갖추기 위해 충전기 구축을 공격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실제 기존 충전사업자들은 이미 상당 규모의 충전기를 운영하고 있고 이러한 운영 경험을 통해 충전기 수를 늘리기보다 양질의 사이트에서 수익 운영을 노리는 전략을 취하는 추세다. 올해 정부는 14만9000기를 설치해 누적 45만기를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대기업=올해 사업수행기관 리스트에는 대기업 비중이 어느때 보다 높았다. 기본적으로 충전시장에 진출한 대기업 계열사가 많이 신청했다.
급속에서는 총 28개사 중 대기업 계열사 비중이 16개사로 57%를 넘겼다. 올해 새로 들어온 업체 10곳 중 6곳이 대기업 계열사이고 탈락한 업체는 모두 중소기업이다. 그룹사로 구분하면 SK 계열사가 4개사로 가장 많고 현대차 2개사, GS 2개사, LS 2개사 등이 뒤를 이었다. 중소, 중견기업은 12개사로 이 중 8개사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사업수행기관에 선정됐다. 완속의 경우는 총 40개사 중 대기업이 12개사로 30%를 차지했다.
업계 관계자는 “사업자 선정 평가항목과 배점기준이 해가 지날수록 강화되면서 여러 평가에서 골고루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는 대기업 계열사가 많이 선정된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가 사업을 길게 끌고 갈 수 있고 자금 여력이 있는 대기업을 선호하는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화재예방형=환경부는 올해 충전시설 종류에 화재예방형 완속충전기를 추가하고 800억원의 보조금 예산을 편성했다. 지원단가는 20~40만원 정도로 예측되며, 3kW~30kW 이상 완속충전기 보조금에 추가 지원하는 형태로 집행된다.
다만 올해는 인프라 구축에만 집중한다. 환경부는 전기차 충전 중 차량 정보, SOC, SOH, 전압, 전류, 온도 등의 배터리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해 화재 예방에 활용하기로 했으나 현대차, 기아 등 전기차 제조사들의 정보 공개 거부로 당초 계획이 무산됐다.
환경부 관계자는 “화재예방형 완속충전기는 올해 하반기부터 지원할 계획”이라며 “올해는 PLC 적용 충전기 보급(인프라 확대)에 집중하고 내년에 전기차 제조사들을 설득해 화재예방 시스템을 완성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서비스=소프트베리, 스칼라데이터 등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가 선정된 것도 주목할 만한 요소다. 정부는 충전기 보급 확대와 더불어 충전 편의성도 보완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EV Infra’와 ‘모두의충전’ 등을 운영하는 업체를 완속 사업자로 선정한 것을 두고 구축과 함께 충전 서비스의 변화도 필요하다고 보는 것 같다고 해석했다.
한편 급속과 완속 모두에서 수행기관으로 선정된 업체는 22개사이며, 5개 사업자가 5연 연속 선정되기도 했다.
관련기사
- 환경부, 올해 전기차 충전시설 설치 보조금 3715억원…전년比 42%↑
- 환경부 전기차 충전사업 수행기관 13개사 더 뽑아...대기업도 다수
- ‘화재 예방부터 PnC까지’...PLC 탑재 완속충전기 출시 잇달아
- '값싼 전기차·화재 예방은 포기?'...대중화 역행한 구매보조금 정책
- ‘내사·고발도 탈락?’…환경부 충전사업자 제재 기준 논란
- 전기차 충전 ‘중복지원 금지·사업자 제재사항’ 신설...깐깐해진 환경부
- 소프트베리, 환경부 전기차 완속 충전시설 사업수행기관 선정
- KEVIT, 5년 연속 환경부 전기차 급·완속 충전 인프라 사업자 선정
- 펌프킨, 급속·완속 모두 환경부 사업수행기관 선정
- 전기차도 스마트폰처럼 '보상판매'가 된다고?
- 소문만 무성한 '화재예방형' 충전기 보조금 조건 윤곽
- ‘온도 감지해 화재 사전 차단’...한국알박, 전기차 화재 예방 충전기 출시
- 소프트베리, 48억원 규모 시리즈A 브릿지 투자 유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