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태협 “재생에너지 확대 전환점”
태양열융합협회 “재생열 정책 실현 계기”
한재협 “국가재생에너지청 설립으로 이어져야”
![한국재생에너지산업발전협의회 대표단과 기후위기대응위원회가 지난 27일 정책 협약식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한재협]](https://cdn.electimes.com/news/photo/202506/355893_562984_1333.jpg)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지난달 29일 발표한 ‘기후에너지부’ 신설 공약에 대해 관련 업계가 환영의 뜻을 밝혔다. 기후 대응과 에너지 정책을 통합 운영하는 전담 부처의 필요성이 그간 누적돼 온 만큼 이번 공약이 실질적 변화로 이어지기를 기대하는 분위기다.
전국태양광발전협회(전태협)는 공식 논평을 통해 “기후위기는 단순 환경 문제가 아닌 경제·일자리·인권의 복합적 위기”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선 통합적 정책이 필수적이고, 기후에너지부는 그 중심축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태협은 특히 “기후위기를 실질적으로 해결하면서 산업 경쟁력과 사회안전망까지 포괄하는 통합 컨트롤타워가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재생에너지 보급 속도가 뒤처진 국내 상황에서 에너지 전담 부처가 기후 재난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란 예측도 내놓았다.
한국태양열융합협회도 같은 날 성명에서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의 실질화와 기후에너지부 신설은 민주당의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주는 계기”라며 “100만 재생에너지 산업 종사자들과 함께 새로운 도약으로 나아갈 희망을 갖는다”고 밝혔다.
한국재생에너지산업발전협의회(한재협)는 성명서를 내고 “기후에너지부 신설은 100만 재생에너지인이 2019년부터 지속적으로 요구해온 숙원”이라며 “이번 공약으로 대한민국이 기후 악당국 오명을 벗고 탄소중립 선진국으로 나아가는 대전환의 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재협은 “기후에너지부 신설뿐만 아니라 국가재생에너지청 설립과 녹색성장위 실질화를 함께 추진해야 진정한 제도 개혁이 가능하다”며 “전력의 70% 이상이 재생에너지로 전환돼야 한다는 대명제를 실현하려면, 전담 조직 없이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들 단체를 포함한 재생에너지 업계는 기후에너지부가 정책 집행력과 부처 간 역할 중복 해소에 있어 핵심적 기능을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신규 에너지 전담 부처가 산업부와 환경부 사이에서 분절돼 있던 정책 기능을 일원화하고, 예측 가능성과 집행력을 갖춘 통합부처로 거듭나길 바라는 모습이다.
업계는 이번 공약이 선언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 제도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치권과 협업을 이어가겠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