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광에스앤티, 국내 유일 유리·셀 분리 기술 확보
“재자원화 없이 맞이할 ‘폐모듈 쇼크’...지금이 준비 적기”
탄소저감·희소금속 회수 효과... 자원순환 전략 전환 촉구
![손극상 원광에스엔티 상무가 폐패널 재자원화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김진후 기자]](https://cdn.electimes.com/news/photo/202504/353915_560512_2643.jpg)
“폐모듈이 대거 발생하는 시점이 눈앞에 닥치면 그땐 이미 늦다. 지금부터 기술과 산업, 정책적으로 대비해야 한다.”
손극상 원광에스앤티 상무는 24일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에서 열린 태양광마켓인사이트 세션에서 “국내에서 철거부터 재자원화까지 일괄 대응이 가능한 기업은 원광에스앤티가 유일하다”며 “이제는 태양광 보급 이후의 문제, 곧 ‘처리’와 ‘재자원화’를 국가 전략으로 다뤄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원광에스앤티는 고비용이더라도 자원 회수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유리-셀 분리 방식’ 재활용 기술을 확보해 상용화한 상태다. 단순 분쇄 방식과 달리, 유리, 실리콘, 구리, 은을 고순도로 회수해 실제 자원순환에 기여할 수 있는 점이 강점이다. 회수된 은은 고려아연에, 실리콘메탈 파우더는 세라믹·건축자재·2차전지 음극재 등 다방면에 납품된다.
손극상 상무는 “알루미늄과 유리도 대부분 재활용 가능해 모듈 한 장에서 버릴 게 거의 없다”고 말했다.
정부는 2023년부터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를 도입해 태양광 폐모듈을 매립 없이 재활용하도록 의무화했지만, 업계 인식은 여전히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손 상무는 “중고로 팔면 그만이라는 인식이 여전한데, 희귀금속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 산업 구조상 폐모듈을 자원화하는 일은 국가 자원안보 차원에서도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전 세계적으로도 폐모듈 재활용은 숙제가 되고 있다. 일본은 올해 재활용 의무화를 법안으로 상정했고, 미국 캘리포니아와 호주도 유사 제도를 검토 중이다. 유럽은 PV사이클 중심으로 재활용이 진행되고 있으나, 통파쇄 방식이기 때문에 자원회수에 한계가 있다. 이와 비교해 국내 기술은 분리정제 방식으로 진화 중이며, 그 중심에 원광에스앤티가 있다는 설명이다.
폐모듈 재자원화는 환경 측면에서도 큰 효과를 낸다.
손 상무는 “기존 폴리실리콘 생산 공정과 비교하면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95% 이상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며 “지금과 같은 자원위기와 기후위기 상황에서는 고비용보다 탄소저감과 자원순환이라는 본질을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 태양광 누적 설치량은 지난해 기준 27GW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내년까지 32GW로 확대될 예정이다. 특히, 과거 FIT 제도로 공급된 약 500MW 규모의 모듈들이 계약 만료와 함께 대거 폐기 국면에 진입하고 있으며, 한전 계통 한계로 리파워링 공사도 증가하는 상황이다.
손 상무는 “폐모듈 발생이 본격화하는 가운데 지금이 산업기반을 정비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일 수 있다”며 “앞으로는 단순 보급 중심의 정책을 넘어서, 보급된 태양광을 어떻게 안전하게 철거하고 재활용할 것인지가 정책 중심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산업적으로는 새 시장이 열리고, 정책적으로는 탄소 감축과 자원순환, 경제적으로는 희소금속 회수와 수입 대체라는 실익이 뚜렷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