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폭탄·IRA 폐지에 한국車 수출 직격탄
법인세 15% 인하로 美 전통 제조업 부활 예고
“현지화·기술력 강화가 돌파구”...업계 대응 분주

미국 미시간주 디어본에 있는 포드 F-150 라이트닝 생산 라인. [제공=연합뉴스/AFP]
미국 미시간주 디어본에 있는 포드 F-150 라이트닝 생산 라인. [제공=연합뉴스/AFP]

미국 47대 대통령으로 도널드 트럼프가 당선되면서 자동차 산업 지형도가 크게 바뀔 전망이다. 트럼프는 ‘미국 우선주의’ 기조 아래 법인세 인하와 관세 부과를 통한 제조업 부활을 핵심 공약으로 내세웠다.

트럼프는 법인세를 현행 21%에서 15%로 낮추고, 모든 수입품에 최대 2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했다. 또한 인플레이션감축법(IRA) 폐지와 전기차 세제 혜택 중단을 예고했으며, 재생에너지 지원은 축소하는 대신 화석연료와 원전 생산을 확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정책 기조는 미국 자동차 업계에 극명한 희비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GM, 포드 등 전통 자동차 업체들이 규제 완화와 미국 우선주의 정책으로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루시드, 리비안 등 신생 전기차 업체들은 보조금 축소와 원가 부담으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테슬라는 예외적인 성장이 기대된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트럼프 지지를 공개적으로 표명한 데다, 트럼프도 머스크를 정부효율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업계는 자율주행 등 규제 완화로 테슬라가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이미 확보한 가격경쟁력으로 전기차 시장에서 독보적 입지를 다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자동차 업계는 관세 인상과 IRA 보조금 축소로 이중고를 겪을 것으로 우려된다. 특히 현대차와 기아는 미국 수출 물량이 많아 직격탄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다만 업계는 이미 캐즘을 겪으면서 하이브리드 차량 판매 확대 등의 전략을 세웠고, 이미 전기차 시장이 정부 보조금보다 차량의 가격 경쟁력이 판매를 좌우하는 단계에 진입했다고 보고 있어, 정책 변화에 따른 영향이 생각보다 제한적일 것이라는 의견도 내놨다.

SK시그넷 미국 텍사스 공장 [사진=SK시그넷]
SK시그넷 미국 텍사스 공장 [사진=SK시그넷]

전기차 충전 업계도 IRA가 초당적 지지로 제정된 법인 만큼 급격한 정책 변화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다. 일부 국내 충전기 업체들은 이미 미국 현지 공장을 가동 중이고 미국 충전사업자(CPO)와 안정적인 공급 계약을 맺고 있어 우려할 만한 수준의 타격은 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자동차 업계는 미국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해법으로 현지화와 기술력 강화를 꼽았다. 한 자동차 부품사 임원은 “고객사의 니즈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현지법인 설립을 통한 시장 선점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다만 중소기업의 경우 생산 공정 일부만 현지화하는 등 단계적 접근이 바람직하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