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력협회, ‘2025 해상풍력 공급망 컨퍼런스 전시회’ 개최

풍특법 시행령부터 대규모 입찰까지…업계 현안 다뤄

74개 기업, 119개 부스 전시장 마련 ,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확대

한국풍력산업협회가 개최한 ‘2025 해상풍력 공급망 컨퍼런스 전시회’가 2일 부산 벡스코에서 막을 올렸다. [사진=안상민 기자]
한국풍력산업협회가 개최한 ‘2025 해상풍력 공급망 컨퍼런스 전시회’가 2일 부산 벡스코에서 막을 올렸다. [사진=안상민 기자]

해상풍력 관련 국내 최대 규모의 행사인 ‘2025 해상풍력 공급망 컨퍼런스 전시회’가 2일 부산 벡스코에서 막을 올렸다.

한국풍력산업협회(협회장 김형근, 이하 풍력협회)가 주최하고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에너지공단, 한국전시산업진흥회, 부산관광마이스진흥회가 후원하는 올해 행사는 바다에너지, 낙월해상풍력, CIP, 뷔나에너지, 두산에너빌리티, 에퀴노르, RWE, SRE, LCI, 케이베츠, 전남개발공사, 대한전선 등 국내 풍력산업을 이끄는 주요 공급망 기업들이 스폰서로 힘을 보태며 지난해보다 규모가 두 배 확대됐다.

이와 함께 국내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개발사부터 솔루션 기업까지 다양한 공급망 업체들이 참여했다.

올해 행사에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영국, 일본, 대만, 네덜란드, 스페인 등 해상풍력 선진국에서 다양한 분야의 74개 기업이 참여해 119개 부스를 꾸렸다. 사전참관 등록은 약 2300명으로 해상풍력에 대한 업계와 대중의 큰 기대가 반영됐다.

2일 컨퍼런스에서는 지난 2월 국회를 통과한 해상풍력 특별법의 시행령 제정을 주제로 한 토론회를 비롯해 ▲해상풍력 산업 육성을 위한 종합체계 구축 방안 ▲세계 해상풍력 공급망 기지로서의 한국 풍력산업의 가능성이 다뤄졌다.

세미나에서는 바다에너지, 두산에너빌리티, 케이베츠, 명운산업개발, 윈드트리, 삼해이엔씨 등 주요 공급망 업체들이 직접 나서 자사의 기술력을 선보였다.

오는 3일에는 ▲아시아 해상풍력 산업 육성을 위한 연대 의식과 발전 방안 ▲대규모 해상풍력 입찰 이슈 및 신규 입찰 제도 도입 방안 ▲트럼프 미국 정부 출범 이후 세계 풍력발전 파이낸싱의 현실과 장단기 대응 방안 ▲항만 중심 해상풍력 산업클러스터 조성과 지역의 미래 등 시의성 높은 주제들이 다뤄질 예정이다.

4일에는 하부구조물 제작 기업인 SK오션플랜트와 해양탐사 전문 기업 지오뷰를 직접 방문해 현장에서 설명을 들을 수 있는 산업시찰 투어가 진행된다.

우원식 국회의장이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안상민 기자]
우원식 국회의장이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안상민 기자]

우원식 국회의장은 축사를 통해 “국회는 지난 2월 27일 해상풍력 특별법을 통과시켜 산업 발전의 근간을 마련하고 철강, 조선, 건설 등 관계 산업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며 “풍력산업이 조속히 정착되도록 산·관이 힘을 합쳐 뛰어야 하며 국회도 있는 힘을 다해 산업을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형근 한국풍력산업협회 회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안상민 기자]
김형근 한국풍력산업협회 회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안상민 기자]

김형근 한국풍력산업협회장은 “산업계의 요청에 맞춰 행사 규모를 대폭 확대하며 풍력발전에 대한 기대와 위상을 반영했다”며 “이에 더해 입찰, 법률, 금융, 국제정세 등 최근 업계를 관통하는 관심도 높은 주제들을 컨퍼런스에서 다루며 유익한 자리가 될 수 있도록 준비했다”고 말했다.

이어 “풍력발전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는 만큼 산업의 근간인 공급망을 강화하고 육성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며 “이번 행사가 공급망 기업의 기술력을 알리고 나아가 글로벌 경쟁력을 키우는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해 6월 열린 ‘2024 해상풍력 공급망 컨퍼런스 전시회’에서는 총 38개사가 50개 부스를 운영했으며 1180명의 참관객이 행사장을 찾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