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시범사업 중인 재생에너지 입찰시장 육지 확대 검토
지난해 6월부터 12월까지 제주서 출력제어 94% 감소 효과

전력당국이 육지에서 빈번해진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히든카드를 꺼내들 전망이다.
지난 21일 복수의 전력산업 관계자에 따르면 전력당국은 제주지역에서 시범사업 중인 재생에너지 입찰제도를 육지까지 확대 적용하는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재생에너지 입찰제도는 그동안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RPS) 시장에서 운영됐던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기를 하루전시장과 실시간 시장에서 입찰을 통해 기존 화력발전 등과 경쟁케 하는 제도다.
전력거래소는 지난해 3월부터 제주지역에 소위 전력시장 선진화 3종 패키지로 불리는 ▲실시간 시장 ▲보조서비스 시장 ▲재생에너지 입찰시장의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최근 변화한 전력산업에 맞춘 시장 개편을 서두른다는 방침이다.
업계에 따르면 시범사업이 1년이 지난 지금 전력당국은 그동안의 성과를 바탕으로 재생에너지 입찰부터 우선적으로 육지에 가져온다는 방침이다. 업계는 이 시기를 내년으로 보고 있다.
최근 최저수요에 따른 재생에너지 출력제어가 육지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탓에 가장 시급하다는 판단으로 풀이된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최근 발표한 ‘2024년 에너지 수급 동향(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총발전량 가운데 재생에너지 비중이 10.6%를 차지하며, 재생에너지 비중이 처음으로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이처럼 재생에너지가 주력전원으로 떠오르는 가운데 심각해진 출력제어 문제는 반드시 해소해야 할 과제가 된 탓이다.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3월, 4월 두 달간 육지에서 시행된 출력제어 용량만 118.5GW에 달했다. 특히 4월은 12일간 73.5GW의 출력제어가 발동된 것으로 알려졌다.
육지의 재생에너지 증가와 봄·가을철 최저수요 문제가 겹치면서 출력제어가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게 된 것.
제주는 육지보다 재생에너지 과잉발전 문제가 더 심각한 곳이다. 업계는 지난해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잠정치를 20% 정도로 추산하고 있다.
그럼에도 제주지역은 시범사업 시행 이후 기술적 출력제어가 크게 감소한 모습이다. 4월 한 달간 총 12일의 출력제어가 진행된 육지와 달리 제주지역에서는 한 차례의 출력제어도 없었다. 지난해 6월부터 12월까지 반년간 출력제어 횟수도 전년 대비 94.2%(52회→3회)로 대폭 감소했다.
입찰을 통해 재생에너지 낙찰자를 선정하면서, 낙찰을 받지 못한 전원은 자연스럽게 전력을 판매하지 못하는 경제적 출력감발이 진행된 덕분이다. 똑같이 발전소가 전기를 생산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했지만 기존의 출력제어는 전력당국이 반강제로 시행해야 했다면, 이제는 시장논리에 의해 자연스럽게 경쟁하는 모습으로 바뀐 셈이다.
이를 통해 그동안 전력 전문가들이 지적했던 출력제어 대상 발전기의 선정 기준 불투명성 등의 부작용을 해소하고 분쟁을 줄일 것으로 업계는 기대하고 있다.
전력산업 한 관계자는 “올해만 해도 벌써 봄철 출력제어가 육지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며 “이로 인한 분쟁이나 부작용이 큰 상황에서 정부는 재생에너지 입찰시장을 대안으로 보고 있는 듯하다. 내년에는 이 제도를 시행할 계획을 논의 중으로 알려졌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