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공단과 1년 이상 논의 끝에 REC 가중치 이견 해소
남동발전, 물가변동 등 여러 변수에도 사업 추진하는 걸로 가닥
![남동발전이 제주에서 운영 중인 탐라해상풍력 전경. [제공=한국남동발전]](https://cdn.electimes.com/news/photo/202505/354353_561027_4528.jpg)
REC 가중치 해석 방식의 모호함으로 사업 좌초 위기에 놓였던 완도금일해상풍력1·2(이하 완도금일해상풍력) 사업이 올해 상반기 재개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남동발전은 지난 4월 한국에너지공단과 REC 가중치 해석 차이를 해소했으며 자체 테스크 포스(TF)를 통해 완도금일해상풍력을 재착수 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고 지난달 30일 밝혔다.
600MW 규모 완도금일해상풍력은 4조원 규모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대규모 해상풍력 사업으로 한전의 발전자회사인 한국남동발전이 추진하고 있다. 지난 2023년 풍력 설비 입찰에 선정되면서 본격적으로 사업이 추진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완도금일해상풍력은 지난해 2월 REC매매 계약을 체결한 직후 REC 가중치 하향 조정이 필요하다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에너지공단의 해석으로 인해 사업을 멈춰야했다. REC 가중치가 하향 조정될 경우 전력 판매 수익과 직결돼 사업성에 차질이 생기기 때문에 남동발전은 사업 취소까지도 고려한 것으로 전해진다.
RPS 규정에 따르면 연계거리에 따른 REC 가중치는 ‘한전계통과 연계되는 육지 또는 육지로부터 계통이 연결되는 섬의 해안선과 그 해안선에서 가장 근접한 발전기의 중앙부 위치와의 직선거리’로 규정돼 있다. 이에 남동발전은 가장 가까운 154kV 변전소가 있는 지역을 기준으로 완도금일해상풍력의 REC 가중치를 해석했으며 REC 매매 계약 또한 체결했다.
그러나 산업부와 에너지공단은 완도금일해상풍력 인근의 실제 연결과 무관한 22.9kV 한전계통이 있는 섬을 기준으로 REC 연계거리 가중치를 해석해 REC 가중치 하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완도금일해상풍력이 가까운 22.9kV 한전계통이 있음에도 더 먼 곳을 기준으로 REC 가중치를 해석한 것이 편법 행위에 해당한다고 해석한 것이다.
남동발전이 계산한 기존 REC 가중치는 3.139 였으나 22.9kV 한전계통과 연계되면 그 가중치가 2.707로 하향 조정된다. REC가 하향될 경우 향후 전력 판매 수익뿐 아니라 PF 금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사업성 자체가 달라질 수 있다.
이처럼 REC 가중치 연계거리 규정의 모호함으로 해석 차이가 발생하자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22일 ‘신ㆍ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 및 연료 혼합의무화제도 관리‧운영지침’ 일부개정(안)을 행정예고 해 연계거리 가중치 정의를 명확화 했다.
일부개정안에 따르면 REC 연계거리 산정 시 해상풍력 발전사업이 실제 연계되는 한전계통을 기준으로 거리를 계산하도록 문구를 명확화 했다.
이에 남동발전이 기존에 계산했던 REC 가중치인 3.139를 그대로 받을 수 있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 남동발전은 자체 TF를 진행하며 사업이 지연되면서 생긴 물가 변동, 환율 변동 등 변수에도 사업 추진이 가능한 것으로 의견을 모으고 있다. TF의 최종 결과가 나오면 이를 토대로 올해 상반기 중으로 사업 재개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남동발전 관계자는 “산업부의 행정예고에 따라 완도금일해상풍력은 기존에 REC 매매 계약을 체결했던 대로 가중치를 받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라며 “이에 진행 중인 TF가 마무리 되면 사업 재추진의 동력이 확보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