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올해 의무공급량 6541만1198MWh 공고

송전 제약으로 동해안 석탄발전 줄었지만 전체 발전량은 늘어

하락하던 REC 가격 상승 요인 될까

영광 백수 해상풍력단지 낙조. [제공=전남도]
영광 백수 해상풍력단지 낙조. [제공=전남도]

지난해 사실상 줄어들었던 RPS 의무공급사들의 의무공급량이 올해 소폭 상승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최근 29개 RPS 공급의무사를 대상으로 총 6541만1198MWh(8765만1003REC)의 의무 공급량을 공고했다. 이는 전년도 6381만9293MWh(8615만6047REC) 대비 159만1905MWh(2.5%) 상승한 물량으로, 공급의무사는 2곳이 늘었다.

RPS 공급의무사는 전년도 발전량을 기준으로 산업부가 매년 공고하는 의무공급량에 맞춰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을 직접 추진하거나,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를 대상으로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를 구매해야 한다. 올해 의무발전비중은 전년(13.5%)보다 0.5%p 오른 14.0%다.

올해 새롭게 추가된 의무공급사는 통영에코파워와 울산지피에스로 각각 19만7551MWh(26만4718REC), 18만5900MWh(24만9106REC)가 할당됐다.

또 한전 발전자회사 중 한국서부발전, 민간 발전사 중 ▲대륜파워 ▲에스파워 ▲포천파워 ▲동두천드림파워 ▲GS동해전력 ▲포천민자발전 ▲고성그린파워 ▲강릉에코파워를 제외한 20개 의무공급사의 의무공급량이 전년 대비 모두 상승했다.

이 의무발전사들의 의무공급량이 줄어든 이유로는 신재생에너지 보급 증가와 송전선 제약에 따른 출력제어가 꼽힌다. 한국서부발전은 지난해 에너지전환 추진 정책 및 석탄 발전량 감소로 한전 발전자회사 중 유일하게 공급의무량이 하락했다.

또 민간 발전사 중 가장 큰 의무공급량 낙폭을 보인 GS동해발전과 강릉에코파워는 동해안에서 수도권으로 가는 송전망 부족과 재생에너지의 계통 참여로 인해 장기간 출력제한 조치를 받은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이에 지난해 말까지 주춤했던 REC가격 또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말 7만5000원 수준이었던 REC 가격은 올해 상반기 들어 7만3000원까지 하락했다. 그러나 올해 REC 수요가 150만개 가량 늘면서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동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