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단지·농촌·물자원, 태양광 보급문제 해결책으로 각광
![볼보코리아 동탄사업장에 설치된 산업단지 지붕 태양광 전경. [제공=경기도, GTV 캡쳐]](https://cdn.electimes.com/news/photo/202501/349609_555167_3519.png)
태양광 발전은 대규모 발전소뿐만 아니라 산단, 농지, 저수지, 건물옥상, 주차장 등 상대적으로 협소한 장소에 설치가 가능한 전원이다. 시공단가도 여타 재생에너지 대비 저렴하며 빠른 보급이 가능한 게 특징이다.
정부는 제11차 전력수급 기본계획 실무안을 통해 2030년까지 매년 4.3GW, 올해부터 5년간 총 21.5GW의 태양광발전 추가 보급을 전망하고 있다. 이는 현재 태양광 누적 용량에 가까운 수치다.
그러나 탄소중립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태양광 발전을 확대해야 한다는 당위성에는 모두가 공감하지만 문제는 주민수용성과 지자체별로 난립한 이격거리, 포화 상태에 이른 전력망이다.
태양광 시설이 늘어날수록 경관 훼손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지자체마다 제각각 이격거리 조례를 세웠고, 더불어 전력망 여건까지 악화되며 일반 태양광의 ‘입지 고갈’이 현실화되고 있다.
정부와 산업계는 이러한 반발을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으로 태양광을 보급할 수 있는 차세대 후보지로 ▲산단 ▲영농형 ▲수상태양광 등 유휴부지에 시선을 돌리고 있다.
그동안 발전소 난립과 안전성 문제 등으로 반감을 사온 산지·임야 태양광에서 탈피해 보급을 급속히 늘리는 한편, 전력 수요지와 공급지 간 일치, 수용성 등의 문제에서도 비교적 반발이 덜한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산업단지는 본래 전력 다소비 지역으로 계획된 곳으로, 계통 여건 양호 지역이 다수 포진해 있다. 전력을 생산지에서 소비해 자가용 태양광 등 분산전원 확대, 계통 부담 저하에도 기여할 수 있다. 부지 내 거주민도 없고, 이격거리를 면제해주거나 비교적 자유로운 곳들이 많아 태양광 후보지로 적합하다는 평가다.
입지 규제가 상대적으로 덜한 영농형·농촌 태양광과 수상태양광 역시 활용도가 무궁무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농형의 경우 전 국토의 약 17%를 차지하는 광활한 면적 중 일부를 발전소로 활용해 농촌 에너지 자립과 농촌 소멸의 반전을 꾀할 와일드카드로 거론된다. 수상태양광은 부지 제약을 크게 줄이고, 냉각·양면발전 등의 효과로 발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유휴부지 태양광은 부처·기관 간 이견, 정치권 소요 등으로 인해 아직 충분히 빛을 보지 못하는 상황이다. 촉각을 다투는 청정에너지 보급 속도에 비춰볼 때, 이러한 장애 요인을 조속히 해결하는 것이 중요한 시점이다.
전기신문은 신년기획 '유휴부지, 태양을 품는다'를 통해 태양광 보급 확대와 흔들림 없는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각 유휴부지가 직면한 장애요인이 무엇인지, 산업계와 정부는 어떤 시각으로 접근하고 있는지 현안을 짚었다.
각 지역 특성에 맞는 현실적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현장의 목소리를 담는 한편, 향후 태양광 보급의 핵심축으로 부상할 산업단지·농촌·물자원의 잠재력을 탐색한다.
관련기사
- [유휴부지, 햇빛을 품다]⑧"관리와 수익화의 경계, 공공 역할 재정립 필요"
- [유휴부지, 햇빛을 품다]⑦ "효율 높고, 환경에도 좋고"...차세대 에너지로 떠오른 수상태양광
- [유휴부지, 햇빛을 품다]⑥영농형 산증인, 김창한 영농형태양광協 회장 “농민 시각 우선돼야”
- [유휴부지, 햇빛을 품다]⑤국내 최초 MW급 영농태양광단지 ‘월평마을’, 성공 비결은
- [유휴부지, 햇빛을 품다]④영농형태양광, 150만ha 농지를 '황금의 땅'으로
- [유휴부지, 햇빛을 품다]③공공주도로 ‘신뢰성 회복’ 노력
- [유휴부지, 햇빛을 품다]②‘느림보’ 산단 태양광, 무엇을 고쳐야 하나
- 산단·영농형 태양광 지원책 밑그림 ....발전公 중심 사업모델 얼개 공개
- "국토부 시행령 개정이 태양광 이격거리 규제 시발점”...업계, 권익위에 ‘소극행정’ 신고
- 농지 훼손 없는 농촌 태양광 길 열렸다...위에너지, 농수로 태양광 과제 실증 성공
- 가국일 법과역사학회장 “신재생에너지, 규제 난립의 장벽 넘어 ‘법적 표준’ 세워야”
- (기자의 눈) ‘편법·위법 행정’ 늪에 빠진 수상태양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