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현 교수, 이재관·김성환 의원 주최한 정책토론회에서 이같이 주장
“현행 전력망 비즈니스모델 뒤처져…MG 및 탄소중립도시 상용화 필요”
![황우현 교수가 이재관·김성환 의원이 함께 주최한 정책토론회에서 발제하고 있다.[사진=윤대원 기자]](https://cdn.electimes.com/news/photo/202409/343789_547644_3836.jpg)
“미래의 에너지시장에서 한국은 이미 밸류체인의 주도권을 잃고 있다. 한국은 재생에너지, 배터리, 전기차 등 단품보다는 스마트 빌딩·타운·시티 등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황우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는 30일 더불어민주당 이재관·김성환 의원이 함께 주최한 ‘RE100과 CFE 사이 정부의 에너지정책,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가?’ 정책토론회에서 발제자로 나서 이같이 주장했다.
재생에너지와 전기차,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은 에너지전환이라는 글로벌 트렌드 속에 주요 아이템으로 급부상했다.
한국 역시 최근 몇 년 간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전환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이미 시장 주도권을 빼앗겼다는 게 황 교수의 지적이다.
태양광과 배터리 분야는 이미 중국이 밸류체인에서 강세를 보인지 오래고, 풍력발전과 ESS 역시 유럽기업들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는 것.
이 같은 상황에서 한국의 에너지전환 정책의 고민이 필요하다고 황 교수는 강조했다.
이미 밸류체인을 해외시장에 뺏긴 단품 분야에서만 정책을 고민할 게 아니라, 전체적인 시스템을 묶어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는 얘기다.
황 교수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는 이미 811조원의 사업비를 투입, 메가시티 사업을 추진 중이고, 호주도 9600억원 규모의 스마트에너지시티 사업의 무대가 되고 있다. 일본도 2000명 규모의 스마트도시를 도요타 주도로 2조3000억원을 들여 준비 중이다.
황 교수는 한국도 제주도에서 카본프리아일랜드(CFI)를 통해 지자체 에너지전환 사업모델을 마련하고 있으며, 이 같은 탄소중립 도시 구축과 국내외 상용화가 우리가 지향하는 탄소중립의 가장 올바른 모델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 같은 마이크로그리드 기술은 에너지전환에 따른 송전 문제 해소를 위해서도 시급하다고도 강조했다.
기존 화석연료 기반의 에너지공급망 대비 2050년에는 재생에너지 등 무탄소 전원이 주류가 되며,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해서는 현재 전력계통 용량의 3~5배 정도의 보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자립형 마이크로그리드 확산을 통해 전력계통 신증설 부담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게 황 교수의 설명이다.
황우현 교수는 “불과 10년전까지 화석연료로 전력을 공급하던 전력망 모델에 재생에너지와 전기차가 등장하며, 더욱 복잡해졌다”며 “실질적인 에너지전환을 위해 오래된 전력사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바꿔야 한다. 자립형 마이크로그리드 도입과 탄소중립도시를 국내외에서 상용화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