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영기업, 한국 해상풍력 프로젝트 M&A 물색
또 다른 中기업도 투자의향서 보내는 등 러브콜 잇달아
韓 부정여론에 제3국 법인으로 차명 투자 등도 검토

해상풍력 발전기가 설치된 모습.(사진은 기사의 특정 사실과 관련 없음.) [사진=안상민 기자]
해상풍력 발전기가 설치된 모습.(사진은 기사의 특정 사실과 관련 없음.) [사진=안상민 기자]

그간 우려가 제기됐던 중국의 한국 해상풍력 프로젝트 인수 움직임이 사실로 확인됐다. 중국은 압도적인 자금력을 앞세워 점차 개화하고 있는 한국 풍력시장을 노리고 있지만 국내 업계의 시각은 대체로 부정적이다.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수조원대 자본금을 보유한 중국 국영기업 A사는 최근 국내 해상풍력 프로젝트 인수를 위해 시장조사를 벌이고 있다. 서해안 인근의 해상풍력 프로젝트 인수를 위해 몇차례 미팅까지 진행했다. A사는 직접 지분 참여를 통해 개발수익을 확보하거나 자국 기자재를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중국의 공급망 참여에 대해 찬반이 제기돼 왔지만 발전사업에 대한 직접 참여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시각이 컸다. 발전사업은 국가 안보와도 직접 연관되는 만큼 인접국인 중국에 맡겨서는 안 된다는 것이 업계 분위기다.

특히 중국은 자국산 기자재 보급이 여의치 않은 한국 시장의 분위기를 고려해 직접 프로젝트를 운영하면서 자국 공급망을 사용하려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에서는 국내 공급망 이용을 장려하는 분위기와 중국산 제품을 가능한 배척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어 중국에서는 기자재 공급을 위해 정공법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

A업체 관계자는 “한국 시장에서 실질적으로 발전 수익을 내고 중국의 우수한 기자재를 공급하는 것이 목표”라며 “중국 회사는 자금력이 충분하기 때문에 어떤 현장이든 인수합병(M&A)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중국에서 한국 해상풍력 시장 지분 인수를 노리는 곳은 A기업뿐만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또다른 중국 기업으로부터 지분 참여를 희망한다는 투자의향서를 받은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중국 기업 측에서 한국 시장 참여를 희망한다는 연락이 종종오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국내 시장 분위기는 중국의 해상풍력 발전사업 참여에 호의적이지 않다. 중국 개발운영사가 추가적으로 국내에서 발전사업허가를 받거나 지분 인수를 위해 발전사업 변경허가를 받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이유다. 

이에 중국 측에서는 제3국 법인을 통해 한국 시장에 진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상황이다.  신탁투자나 기업 간 비공개 계약을 통한 차명투자 가능성 등이 거론된다.  

A업체 관계자는 “한국에서 중국 기업이 직접 프로젝트를 개발·운영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싱가포르나 두바이 등 제3국을 통해 지분을 인수하는 방법을 고려 중”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