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 3분기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통계 발표
올해 1~9월 사고사망자 457명…영세 사업장서 사고 집중
![지난 14일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현장에서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등 고용부 관계자들이 구조 상황 등을 살펴보고 있다. [제공=연합뉴스]](https://cdn.electimes.com/news/photo/202511/362178_571525_221.jpg)
정부가 '산재와의 전쟁'을 선포했음에도 올해 9월까지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자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세 사업장에서 사고가 집중되고 추락·충돌 등 후진국형 사고가 반복된 것으로 조사됐다.
25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 잠정결과에 따르면 올해 3분기까지 누적 재해조사 대상 사고사망자는 457명으로 전년 대비 14명(3.2%) 늘었다. 사고 사망 건수는 440건으로 29건(7.1%) 증가했다.

업종별로 보면, 건설업에서의 사망자 수가 210명으로 전년보다 7명 증가했다. 기타 업종(128명)에서도 22명 증가했다. 다만 제조업(119명)에선 15명 감소했다.
기타업종에서는 도·소매업과 농림어업 등 영세 사업장을 중심으로 각각 20명, 19명 늘었다. 건설업 역시 기장 화재사고(6명), 세종-안성 고속도로 붕괴 사고(4명) 등 대형 참사와 함께 5억원 미만 소규모 현장에서도 사망자가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 규모별로는 50인(50억원) 이상 사업장 사망자는 182명으로 전년 대비 12명 줄었다. 그러나 50인(50억원) 미만 사업장은 26명 증가한 275명이었다. 이 가운데 5인(5억원) 미만 사업장의 사망자는 27명 늘어나 영세할수록 안전 취약성이 더 크게 나타났다.
사고 유형별로는 떨어짐 사고가 199명으로 가장 많았다. 전년 대비로는 36명 증가했다. 이어 ▲물체에 맞음 56명 ▲부딪힘 45명 ▲끼임 37명 ▲깔림·뒤집힘 30명 ▲기타 90명 등이었다.
올해 3분기 누적 산재 사망자 중에 외국인은 60명(13.1%)인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6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산재와의 전쟁을 선포하면서 여러 대책들을 발표했지만 현재까지 정책적인 효과로 이어지지는 않는 모습이다.
이에 대해 류현철 노동부 산업안전보건본부장(차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산재사망은 대표적인 후행 지표"라며 "정책들이 일선 현장까지 닿는 데에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가 정책이 실현되는 단위는 예산을 설계하고 집행하는 과정을 거치는 1년 정도"라며 "그 정도 안에서는 뭔가 효과들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하지 않겠나 하는 생각을 하고 있다. 그게 제가 이 자리에서 해야 하는 목표로 생각하고 달리는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노동부는 현 상황을 매우 엄중히 인식하고 4분기에는 중대재해 감축이 이뤄질 수 있도록 취약 분야를 중심으로 산재예방활동을 적극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노동부는 10월말부터 연말까지 집중점검주간을 운영해 소규모 건설현장과 도·소매업 등 기타업종 대상으로 전국적인 집중 점검을 추진하고 있다. 세부 분야별로는 ▲지붕공사 추락대책 ▲1억 미만 건설현장 추락 감독 ▲벌목작업 안전강화 대책 등 특화 정책을 마련했다.
기타업종에서는 건물종합관리업, 도·소매업, 위생 및 유사서비스업의 협회·단체 등과 간담회를 개최해 안전보건규칙 준수를 당부하고 정부 재정지원 사업을 안내하는 등 예방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또한 소규모 사업장에 대한 산재예방 강화를 위해 지방 노동관서·자치단체 합동 점검 등으로 협업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