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기후부 장관, 22일 동서울변전소 증설반대 협의체와 면담
국가기간 전력망 설비로 지정…주민 반대 설득하고 사업 추진 기대

​경기 하남시에 있는 동서울변전소 부지 모습.[제공=한국전력]​
​경기 하남시에 있는 동서울변전소 부지 모습.[제공=한국전력]​

경기 하남 ‘동서울변전소 옥내화 및 초고압직류송전(HVDC)변환소 증설’ 사업이 하남시의 반대로 첫삽도 떼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접 나선다.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안 ‘에너지 고속도로’의 최우선 순위에 있는 동서울변전소 증설 사업이 주민들의 반대를 뚫고 추진될 지 관심이 모아진다.

19일 관련업계 등에 따르면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은 22일 경기도 하남시를 찾아 ‘동서울변전소 증설반대 5자협의체’와 면담한다. 그동안 사업 주체인 한국전력 직원들과 지자체 주민들이 만난 적인 있지만, 장관이 직접 나서 5자협의체 및 주민들을 만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5자협의체는 주민들이 결성한 동서울변전소 반대 태스크포스(TF)를 비롯해 추미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더불어민주당 하남갑 의원), 국민의힘 이용 전 의원(하남갑), 하남시청, 하남시의회로 구성돼 있다. 추미애 법사위원장 등 5자협의체 관계자들 모두 22일 간담회에 참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업을 담당하는 한전도 참석한다.

앞서 당초 한전은 지난해 4~5월께에는 착공할 계획이었으나 지자체의 비협조로 사업은 표류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허가를 내라는 사법부 판단이 나왔음에도 하남시는 현재까지 인허가를 거부하고 있는 상황이다.

동서울변전소 옥내화·증설 사업은 ‘동해안~수도권 HVDC 프로젝트’의 핵심 구간 중 하나다. 동해안~수도권 HVDC는 강원도 해안 지역 화력·원자력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을 경북 울진군에 위치한 동해안 변전소에서 500㎸로 승압한 뒤 약 230㎞ 길이의 송전선을 통해 수도권으로 전송하는 사업이다. 송전선로로 전송된 전력은 경기 가평군의 신가평변전소와 경기 하남시의 동서울변전소를 통해 수요자가 쓸 수 있는 전압으로 조절돼 수용가에 전달된다. 송전선로를 다 구축해도 변전소가 없으면 전력은 수도권에 공급될 수 없다.

때문에 이 사업은 이재명 정부의 ‘에너지 고속도로’ 국정과제에서 최우선 순위로 거론된다. 수도권에 증설되는 반도체 단지, 데이터센터 등에 수도권 전력망 추가 구축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지난달 2일 정부는 김민석 총리 주재로 제1차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위원회를 열고 전국 99개의 송전선로와 변전소 구축 사업을 국가기간 전력망 설비로 지정했다. 하남시 감일동의 동서울변전소도 이같은 패스트트랙에 지정·포함됐다. 이후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국가기간 전력망 구축 목표 달성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며 사업에 속도를 내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바 있다.

이에 이번 김 장관의 면담을 통해 동서울 변전소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5자 협의체는 동서울변전소 증설 관련 갈등 사안을 국무총리 갈등조정위원회에 정식 회부할 것을 김 장관에게 요구한다는 계획이다.

협의체는 “정부와 한전의 기습적·배제적 행정으로 발생한 문제를 공식적으로 기록하고, 국무총리와 중앙정부 차원의 조정과 책임 있는 대응을 확보하며, 주민과의 소통과 협의를 기반으로 한 합리적 해결 방안을 주도적으로 마련하는 단계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하남시가 갈등조정위원회 조정 등을 요구한 만큼 정부가 소통과 문제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선다면 주민수용성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게다가 이 사업이 국가기간 전력망 성비로 지정된 만큼 조만간 사업 추진의 실마리가 풀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AD] 일등인터내셔널의 관로구 방수·화재 지연장치 설치 전 후 모습https://www.idinc.co.kr/24
[AD] 일등인터내셔널의 관로구 방수·화재 지연장치 설치 전 후 모습https://www.idinc.co.kr/24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