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정부세종청사서 출범식…재생E 중심 에너지체계 전환 등 6대 핵심과제 제시

“화석연료 의존형 탄소문명을 종식하고 재생에너지 중심의 탈탄소 녹색문명으로 대전환하기 위한 첫걸음입니다.”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은 1일 정부세종청사 대강당에서 가진 기후부 공식 출범식에서 이같이 밝혔다.
특히 김성환 장관은 “기후정책 총괄 기능은 환경부, 감축 수단은 산업부에 있다 보니, 실질적인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웠다”며 “이제는 기획과 실행을 한 부처에서 하는 만큼 전 분야에서 탈탄소 녹색 대전환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김 장관은 기후환경에너지부의 6대 핵심 과제로 ▲전력·산업·수송·건물 등 전 분야 탈탄소 로드맵 마련 ▲시장 메커니즘 기반의 감축 전략 강화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체계 전환 ▲탄소중립 산업 육성 ▲기후 안전망 구축 ▲국민 환경권 보장 등을 제시했다.
먼저 전력·산업·수송·건물·생활 전 분야에서 탈탄소 녹색 전환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관련해 오는 11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에 제출할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진전의 원칙과 국민 환경권, 미래세대의 지속가능한 삶을 고려해 책임 있는 목표로 설정하겠다는 방침이다.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한 실효적 탈탄소 전략 추진 의지도 분명히 했다.
김 장관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유상할당 비중을 확대하겠다”며 “이를 통해 확보한 재원을 기업의 탈탄소 투자에 재투자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어 “수소환원제철, 플라스틱 열분해 등 혁신기술 도입을 촉진하고, 모든 동력기계의 전동화를 추진하겠다”며 “도시가스 대신 전기로 열을 생산하는 히트펌프와 제로에너지빌딩 확산을 통해 건물 부문 탈탄소 전환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재생에너지 확대 구상도 밝혔다. 그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설비를 100GW 수준으로 확대해 ‘햇빛 연금·바람 연금·마을 연금’ 형식으로 국민들에게 소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겠다”며 “전력망도 화석연료 중심에서 재생에너지 중심의 지능형 전력망, 이른바 ‘에너지 고속도로’로 전환하겠다”고 설명했다.
탄소중립 산업을 국가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는 청사진도 제시했다. 김 장관은 “태양광·풍력·전기차·배터리·히트펌프·가상발전소(VPP) 등의 부문에서도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녹색금융 확대와 탄소중립산업법 제정을 통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을 위한 법적 기반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끝으로 그는 “미래 선진국은 AI 대전환(AX)과 함께 녹색 대전환(GX)을 통해 새로운 문명을 선도한다”며 “기후에너지환경부는 K-GX를 이끄는 부처로서 대한민국을 탈탄소 녹색문명 선도 국가로 도약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