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풍력협회, 20일 목포대학교서 '해상풍력 기술 포럼 개최
배지영 민주연구원 부실장 "해상풍력 산업 육성 지원 필요"
![배지영 민주연구원 정책연구원 부실장이 전남풍력산업협회와 국립목포대학교가 20일 국립목포대학교 남악캠퍼스에서 개최한 ‘전남풍력산업협회 해상풍력 기술 포럼’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안상민 기자]](https://cdn.electimes.com/news/photo/202508/359020_567090_5731.jpg)
신정부의 재생에너지 정책을 지원하기 위해 국산 20MW 급 초대형 풍력 터빈을 개발하고 전문 발전사를 육성하는 등 체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전남풍력산업협회(협회장 장충모)와 국립목포대학교는 20일 국립목포대학교 남악캠퍼스에서 ‘전남풍력산업협회 해상풍력 기술 포럼’을 개최하고 신정부의 에너지 정책 방향과 국내 해상풍력 산업 현황에 대해 논의했다. 현장에서는 150여 명의 업계 관계자들이 참여해 국내 해상풍력 산업 육성 방안에 대해 청취했다.
이날 배지영 민주연구원 정책연구실 부실장은 이재명 정부가 추진 중인 기후에너지 정책과제들을 소개하고 이를 뒷받침할 산업 육성 방안을 제안했다. 배 부실장은 이재명 정부의 기후 공약 및 국정기획위가 발표한 '123대 국정과제'을 소개하면서 신정부의 재생에너지 보급 의지를 공고히 했다.
특히 최근 인플레이션과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라 기업의 RE100 이행에 대한 목소리가 이전처럼 힘을 얻지 못하고 있음에도 신정부의 재생에너지 보급 의지가 흔들림 없다는 것이 배 부실장의 설명이다.
이에 국내 해상풍력 산업 육성을 위해선 ▲해외 터빈 독과점 구조 견제 및 기술이전 촉진 ▲20MW 이상 초대형 터빈 기술 개발 ▲국내 해상풍력 전문 기관 육성 및 국산 공급망 강화 ▲발전 공기업 투자여건 개선 ▲카보타지(Cabotage) 규정 탄력 적용 및 배후항만 개발 등이 필요하다는 것이 배 부실장의 의견이다.
![청중이 연사의 발표를 청취하고 있다. [사진=안상민 기자]](https://cdn.electimes.com/news/photo/202508/359020_567065_4039.jpg)
또한 서남해 해상풍력 인근에 재생에너지 필요 기업을 중심으로 RE100 산단을 조성하는 등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RE100 산단이 조성되면 수요 기업을 중심으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기업 유치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배 부실장은 “2030 재생에너지 보급 목표 달성을 위해선 공급망 육성, 균등화발전단가(LCOE) 하락, 인하가 완화가 중요하다고 본다”며 “특히 산업과 전력망을 연결하는 에너지고속도로 계획은 현 정부의 임기를 넘어서는 계획이기 때문에 정권 재창출이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정책을 믿고 대규모 투자를 해야 하는 민간 기업 입장에서 정부의 지속적인 재생에너지 보급 의지를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다”며 “정부가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시그널을 업계에 줘야 실무진이 경영진을 설득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장충모 전남풍력산업협회 협회장은 “전남 해상풍력은 이제 단순한 기술적 논의를 넘어정책·산업 전반의 실행력을 강화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에 와 있다”며 “이번 기술포럼이 전문가와 산업계가 함께 해상풍력의 미래를 설계하는 소통의 장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협회는 또한 올해 9월과 10월에 2차, 3차 기술포럼을 연이어 개최하여 사업개발, 공급망·인프라, 인·허가, 회원사 기술소개 등 다양한 주제를 심층적으로 다룰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