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입찰 비가격요소 강화·공공시장 신설 등 애쓰고 있지만
내수시장 열악한 탓에 국내 기업 사업 존속 걱정, 신뢰도도 낮아
정부 보증‧구매 면책 제도 도입되면 발전사업자‧공급망 모두 혜택
![대만 타이중 항구에 적재된 해상풍력 타워. [사진=안상민 기자]](https://cdn.electimes.com/news/photo/202503/351590_557568_4023.jpg)
정부가 국내 풍력 공급망 육성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단순히 입찰 가산점을 주는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정부 보증과 구매면책 제도를 비롯한 실질적인 사업 혜택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정부는 지난해 해상풍력 시장 육성을 선언하면서 풍력 설비 입찰 배점에서 비가격평가 점수를 40점에서 50점으로 강화하는 등 국산 공급망 사용을 장려해왔다. 또 올해 공공주도 해상풍력 시장 신설을 추진하면서 국산 공급망 사용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업계는 국산 공급망 육성을 위해선 이 같은 장려 정책과 더불어 실질적인 혜택이 제공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과거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자료를 종합했을 때 국산 풍력터빈과 외산 풍력터빈의 설치비율은 국산 42.7%(841MW), 외산 57.3%(1129MW) 수준이었다.
하지만 국내 기업의 규모가 글로벌 기업 대비 영세한 데다 해상풍력 공급망에 참여했던 기업들이 사업을 접은 사례가 여럿 나타나면서 시장에서 국내 기업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가령 터빈의 경우도 10년 전까지는 ▲두산에너빌리티 ▲HD현대일렉트릭 ▲효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유니슨 등이 제조사업자였지만 현재는 두산에너빌리티와 유니슨 정도만 남았다.
이에 지금은 터빈 제조를 하지 않는 기업들의 제품을 설치한 현장에선 유지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이 업계의 얘기다.
한 육상 풍력 발전사업자는 “지금은 사업을 존속하지 않는 A터빈사 제품을 10년 전 설치했다가 최근 A/S를 문의했더니 현재는 사업부가 없고, 유지보수를 하려면 많은 금액이 소요된다는 얘기를 들었다”며 “이 때문에 발전사업자 입장에서 괜히 국산 공급망을 사용했다가 리스크만 커진 꼴이 됐다”고 말했다.
문제는 터빈뿐 아니라 풍력 공급망에 포함된 국내 기업 중 일부를 제외하면 대다수가 영세한 사업자라는 점이다.
국내 해상풍력 발전기 하부구조물 제조 및 설치시공(EPC) 기업들은 글로벌 기업 대비 규모가 영세하거나 포트폴리오가 단순한 경우가 다수다. 이에 발전사업자 입장에서 국내 공급망을 사용하려면 많은 리스크를 부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공급망 기업들이 사업을 존속하려면 최소 3년치 물량을 확보하고 있어야 하는데 현재 해상풍력 시장에서 3년간의 물량을 확보하기란 어렵다는 것이 업계 설명이다.
공급망 업계 관계자는 “국내 공급망 제조사 다수가 영세 기업이다 보니 시장에서 높은 리스크가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며 “정부에서 국가혁신제품 사용 시 발전사업자에 혜택을 주거나 공적 보증기관을 통해 보증을 서주는 등 지원이 더해지면 국내 공급망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공공 해상풍력 시장이 추진되고 있는 만큼 공공 사업자가 국내 공급망을 사용할 경우 구매면책을 적용하는 등 제도적 도움이 더해지면 발전사업자·공급망 사업자 모두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