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회사 합산 매출 262.5조원으로 창사 이래 최대
주요시장 판매 성장과 친환경차·고부가가치 차종 판매 증가

지난해 현대차와 기아가 나란히 역대 최대 실적을 냈다. 두 회사의 합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56% 넘게 증가해 사상 처음으로 26조원을 돌파했다.
현대차는 25일 기업설명회에서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 162조6636억원, 영업이익 15조1269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2010년 새 회계기준(IFRS) 도입 이후 종전 최대 실적이었던 2022년 매출(142조1515억원)과 영업이익(9조8249억원)보다 각각 14.4%, 54.0% 증가한 것이다.
현대차 연간 영업이익이 15조원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간 매출 160조원 돌파도 처음이다. 영업이익률은 9.3%로 나타났다.

기아도 같은 날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 99조884억원, 영업이익 11조679억원의 실적을 공시했다. 종전 최대 실적인 2022년 매출(86조5590억원)과 영업이익(7조2331억원)에서 각각 15.3%, 60.5% 상승했다.
이에 따라 현대차·기아의 지난해 합산 매출은 262조4720억원, 합산 영업이익은 26조7348억원으로 집계됐다. 2022년에 세웠던 합산 최고 매출(228조7105억원)보다는 14.8%, 합산 영업이익(17조580억원)보다는 56.7% 증가한 것이다.
현대차·기아가 역대 최고 실적을 거둔 배경으로는 미국을 포함한 북미와 유럽 등 주요 시장에서 견조한 판매 성장세 속에 친환경차, 고부가가치 차종 중심의 판매량 증가가 꼽힌다.
실제 기아의 경우 하이브리드차(HEV)는 전년 대비 20.8% 증가한 30만6000대,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는 15.5% 늘어난 8만8000대 판매됐다. 전기차(EV)도 15.3% 증가한 18만2000대 팔렸다. 따라서 친환경차 판매 비중은 19.1%로 상승했다.

게다가 우호적인 원·달러 환율 영향이 더해져 현대차·기아 모두 사상 최대 실적 달성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됐다.
두 회사는 올해 판매량 목표를 작년보다 높게 잡았다. 현대차는 올해 연간 판매량을 전년보다 0.6% 증가한 424만대로 설정했다. 영업이익률은 8.0%∼9.0%를 목표로 삼았다. 기아는 글로벌 시장에서 3.6% 증가한 320만대를 판매하고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3%, 3.4% 오른 101조1천억원, 12조원을 달성하겠다고 제시했다.
지난해 실적 호조를 반영해 배당금도 책정했다. 현대차는 작년 기말 배당금을 보통주 기준 주당 8400원으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현대차의 2023년 연간 배당은 2·3분기 배당 합계 3000원을 포함해 전년 대비 63% 증가한 주당 1만1400원으로 책정됐다. 기아도 기말 배당금을 전년 대비 2100원 오른 5600원으로 책정하고 주주총회에서 이를 확정할 계획이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향후에도 다양한 주주환원 정책을 적극적으로 검토해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지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더 빨리 더 멀리'...현대차·기아, 액티브 에어 스커트 기술 공개
- 현대차그룹, 영국 '왓 카 어워즈' 5관왕 달성
- 현대차그룹, 美 전기차 시장서 첫 2위...작년 영익 27조대 예상
- ‘전기차도 SW가 대세’... CES 2024, 미래 모빌리티의 향연
- (2023 무역의 날-자동차) 무역시장 ‘간판’ 바꿨다...자동차 기업이 1·2위 석권
- 현대차그룹, ‘2024 美 에디터스 초이스 어워즈’ 대거 수상
- 현대차그룹 '전기차 3종' 美 주행평가서 1∼3위 싹쓸이
- 현대차, 전기버스 보급에 드라이브...충전소도 160여곳 구축
- 현대차그룹, 英 런던대 산하 ‘지속가능한 구조변화 연구소’ 개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