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장전기판매사업 의견수렴 토론회 개최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 통과와 전기사업법 개정으로 ESS 활용도 넓어질 듯

오는 2025년부터 저장전기판매사업이 전국으로 확대된다.
또 내년 하반기쯤 분산에너지 특화 지역이 선정돼 판매사업이 우선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에너지공단(이사장 이상훈)은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지난 16일 서울 남대문 코트야드 메리어트 호텔에서 ‘저장전기판매사업 의견수렴 토론회’를 개최했다.
저장전기판매사업이란 재생에너지를 생산해 ESS 등에 저장해 자유롭게 판매할 수 있는 사업을 말한다.
이번 토론회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제정과 전기사업법 개정으로 점차 확산될 ESS 사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이해하고, 실수요 기반의 정교한 정책을 수렴하고자 열렸다.
이번 저장전기판매사업 추진 방향을 발표한 김근호 한국에너지공단 분산에너지팀장은 “지난해 말을 기준으로 국내 ESS가 10GWh 가까이 깔렸지만 대부분 과거에 설치됐고 현재 비즈니스모델이 사라졌다”며 “여러 법 통과 이후 어떤 전기를 담고 어디에 판매할지 등 정의를 내려 ESS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현재 추진 중인 저장전기판매사업은 2025년 본격적으로 시작될 예정이다. 김 팀장은 “내년 6월까지 저장전기판매사업 사업 모델을 확정하고, 분산에너지 특화 지역 내 사업을 우선 추진한 이후 2025년부터는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역에서 생산한 전기를 지역에서 소비하는 분산에너지 시스템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서는 ESS가 핵심 자원으로 꼽힌다.
주성관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전력시장, 전력망과 연계된 ESS 활용 수익구조를 다각화하는 방안들이 나오고 있다”며 “현행 전력시장은 현물시장, 하루전시장이지만 미래 전력시장이 현물시장(하루전시장, 실시간시장)에 보조서비스 시장과 장기계약 시장이 더해지며 ESS의 활용도가 크게 많아질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종현 E2Z 이사는 “현재 전기차 충전과 연계해 수익이 날 수 있는 모델을 찾았지만 여전히 비싼 배터리가 문제”라며 “폐배터리를 시험받는 과정과 비용만 줄어들면 ESS 원가가 확 떨어져 사업이 커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진 토론회에서 안종보 에기평 ESS PD는 조금 색다른 주장을 내놓았다. 아직 주류인 NCM 기반 리튬이온전지 대신 LFP 배터리가 그 자리를 차지하리라는 것이다.
안 PD는 “중국을 중심으로 인산철과 여러 가지 스토리지로 ESS가 확대되고 있다”며 “앞으로 안정성에 대한 고려가 더욱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덧붙여 “ESS가 장주기로 가면 초기 투자가 크더라도 양수와 플로우전지가 경쟁력을 가질 것”이라며 “다만 국내 기술이 아직 산업기반이 없고 성숙하지 않기 때문에 발전 전략을 상세하게 짜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저장전기판매사업은 기업들의 ‘RE100 달성’에도 직결될 예정이다.
김 팀장은 “저장전기판매사업은 재생에너지를 넣었다 빼는 것이기 때문에 RE100의 이행 수단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고도 했다.
글로벌 기업들이 국내 밸류체인에도 RE100 달성을 요구하면서 압박받고 있는 우리 기업들이 저장전기판매사업에 참여한다면 돈도 벌고 RE100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박상희 산업부 신산업분산에너지과 과장은 “이동형 ESS 대책도 보완하고 분산법을 통해 특구가 잘 이행되도록 TF를 구성해 제도를 성공시키겠다”며 “저장전기판매사업도 관련 주체와 같이 TF를 만들어 산업 활성화에 함께하자”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