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베리, 전기차 충전 인프라 및 충전 매너 설문조사
충전기 고장·‘충전 카드 인식 불가 등 잦은 고장 경험해
‘가정용 또는 아파트 내 완속 충전기’를 주로 사용

전기차 충전 인프라 및 충전 매너 설문조사 인포그래픽. (제공=소프트베리)
전기차 충전 인프라 및 충전 매너 설문조사 인포그래픽. (제공=소프트베리)

전기차 이용자 중 84%가 충전기 고장이나 카드 인식 불가로 인해 충전을 하지 못했던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프트베리가 지난 추석 연휴 나흘간 행담도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전기차 이용자 121명을 대상으로 전기차 충전 인프라 이용 경험과 충전 매너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고 8일 밝혔다.

결과에 따르면 전기차 이용자에게 전기차 충전을 하며 실패했던 경험이 있냐는 질문에 ▲있다는 답변이 84.3%로, 10명 중 8.4명이 실패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충전에 실패한 주된 이유로는 ▲충전기 고장(47.1%), ▲전기차 충전 카드 인식 불가(26.5%), ▲충전기 자리 부족(19.6%) 순으로 나타났다. 전기차 이용자 입장에서 전기차 충전 인프라 고장을 자주 경험한 것으로 분석되며, 이는 충전기 보급과 더불어 충전시설에 대한 관리가 꾸준히 이뤄져야 함을 시사한다.

충전에 실패한 경우 어떻게 대처하냐는 질문에는 ▲다른 충전소 검색이 73.3%로 가장 높았고, ▲앞 순서 차량이 나갈 때까지 대기(10.9%)하거나 ▲앞 순서 차량의 충전이 끝나면 연락 시도(8.9%)한다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전기차 이용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충전 인프라 위치와 충전기 종류로는 ▲가정용 또는 아파트 내의 완속 충전기(51.2%), ▲공공 급속 충전기(28.1%), ▲회사의 완속 충전기(14.9%)를 꼽았다. 내연 기관차에 비해 충전 시간이 소요되는 전기차의 특성상 오래 머무르는 집 근처 완속 충전기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충전소를 찾을 때 우선시하는 조건(복수응답)으로는 ▲충전 속도가 빠른 곳(45.3%) ▲충전요금이 저렴한 곳(40.0%) ▲충전기 대수가 많은 곳(29.5%) ▲현재 이용자가 적은 곳(28.4%) 순으로 집계됐다.

또한 내연기관차와 다른 전기차 충전 인프라 이용 매너가 더욱 확산돼야 한다는 의견도 확인할 수 있었다. 전기차 이용자들이 내연차 운전자를 포함해 다른 운전자로 인해 충전에 불편함을 겪은 경험에 대해서 ▲있다는 응답이 52.9%로 집계됐고, 불편함을 느낀 이유(복수응답)로는 ▲급속 충전기에서 80% 충전이 돼도 자리를 비켜주지 않음(45.3%) ▲전기차 충전 구역에 내연차 주차(39.1%) ▲앞 차량이 충전 중 별도의 연락처 없이 자리 비움(23.4%) 순이었다.

박용희 소프트베리 대표는 “국내 전기차 보급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만큼 전기차 충전 인프라 관리와 충전 매너 확산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며, “향후에도 소프트베리는 전기차 이용자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편리한 전기차 충전 라이프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소프트베리는 지난 추석 연휴 기간 행담도 휴게소에서 올바른 전기차 충전 매너를 알리고자 한국도로공사와 손잡고 ‘전기차 충전 매너 캠페인’을 진행해, 전기차 충전 매너 수칙을 알리고 다양한 참여형 이벤트를 진행한 바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