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사업 후 남은 예산으로 추진...충전기 6.2천기 구축
완속 4124기·급속 2124기 설치...24개 업체 참여
완속 및 급속 우선 대상은 기존대로...그외 감액 지원
대영채비(급속)·플러그링크(완속) 선정 물량 1위

에버온이 2022년 지역별 무공해차 전환 브랜드 사업으로 구축한 강원창작개발센터 급속충전기. (제공=에버온)
에버온이 2022년 지역별 무공해차 전환 브랜드 사업으로 구축한 강원창작개발센터 급속충전기. (제공=에버온)

환경부가 제2차 지역별 무공해차 전환 브랜드 사업으로 전국에 6000여개 전기차 충전기를 추가로 구축한다. 이 사업은 지역 특성과 연계해 전기차와 충전기를 집중 보급하고 차량 제작사, 충전사업자 등의 민간 참여를 적극 유도하는 환경부의 전기차 충전기 보급 프로그램이다.

최근 환경부는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 '2023년 2차 지역별 무공해차 전환 브랜드 사업'을 통해 충전시설을 구축할 122개 사업을 발표했다. 2차 사업에는 1차 사업(1785억원) 선정 후 남은 약 500억원 예산을 투입해 전기차 충전시설 6248기를 설치한다. 구축·운영은 24개 사업자가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환경부는 완속충전기 4124기와 급속충전기 2124기를 전국 약 1827곳에 설치한다. 물량으로는 1차 사업 1만5665기(완속 1만89기, 급속 4547기)보다 적지만, 사업 수는 122개로 1차 사업(120개)과 비슷하다. 이번 2차에는 전기이륜차 배터리 교환형 충전기(BSS)는 모집하지 않았다.

지난해 처음 시도한 브랜드 사업은 정책 특성 때문에 전기차 충전 사각지대 해소와 전기버스 및 전기택시 보급 측면에서 긍적적 효과를 거뒀다. 의무적으로 구축해야 하는 전기차 충전기를 정부 보조금을 받아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도 지자체 및 공공기관 등에 큰 매력으로 작용했다. 올해 예산이 지난해 430억원보다 4배 이상 증가한 1785억원이 편성된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특히 올해 급속충전시설의 경우에는 100% 브랜드 사업으로 진행된다. 50kW(1채널) 1000만원, 1000kW(1채널 or 2채널) 2000만원, 200kW(1채널 or 2채널) 4000만원, 350kW 이상은 7500만원의 보조금이 지원된다. 환경부는 급속충전기 1기당 설치 비용의 50% 이내로 보조금을 책정했다.

2차 사업에는 예산 규모에 비해 많은 물량이 신청돼 보조금 지원 방식을 변경하기도 했다. 급속충전기의 경우, 공고에서 우선 선정 대상으로 공지했던 사업은 기존처럼 신청 금액을 100% 지원한다.

우선 선정 대상 사업은 ▲고속도로 및 국도 휴게소, 졸음 쉼터 내 설치하거나 사용차 전용 충전 구역으로 할당되는 사업 ▲한국형 무공해차 전환 100(K-EV100) 및 친환경차구매목표제 사업장에 충전시설을 설치하는 사업 ▲대기관리권역 내 특정용도 차량 전환(어린이 통학차량, 택배차량)을 위해 전용 충전시설을 설치하는 사업 등이다.

그 외 일반 신청 물량에 대해서는 남은 예산을 똑같이 나눠서 보조금을 지원할 방침이다. 아직 감액율이 정해지지 않았지만 신청 금액의 50~54% 정도를 지원받을 것으로 보인다. 완속충전기는 선정된 사업 모두 신청 금액 100%를 지원받게 됐다.

2차 사업에 가장 많은 물량이 선정된 사업자는 급속충전기의 경우 대영채비(348기), 이지차저(311기), SK일렉링크(215기), 현대엔지니어링(170기) 순으로 조사됐으며 완속충전기는 플러그링크(2234기), 이브이시스(전 중앙제어, 536기), SK일렉링크(372기), 투루차저(전 휴맥스EV, 239기) 순으로 나타났다.

정부 관계자는 “2차 사업 예산이 500억원 규모인데 선정 사업이 122개라 지원 규모가 축소됐다”며 “사용자가 체감할 수 있는 편리한 충전환경을 조성하며 민간 충전시장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