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비가격 평가 5:5로 조정... 제주 40MW 구간에 ‘순투자비 보상+차익거래 허용’ 첫 적용

17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년 제2차 ESS 중앙계약시장 사업자 설명회'에 사업자 수백명이 모여 전력거래소 측의 설명을 듣고 있다.[사진=정재원 기자]
17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년 제2차 ESS 중앙계약시장 사업자 설명회'에 사업자 수백명이 모여 전력거래소 측의 설명을 듣고 있다.[사진=정재원 기자]

ESS 화재안전성 강화와 제주지역 차익거래 시범 도입이 올해 제2차 중앙계약시장의 핵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2025년 제2차 ESS 중앙계약시장 입찰을 앞두고, 수백여 명의 사업자가 광주에 집결하며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전력거래소는 17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2025년 제2차 ESS 중앙계약시장 사업자 설명회’를 개최하고 가격·비가격 평가 비중 조정과 안전성 중심의 제도 개편안을 발표했다.

이번 2차 중앙계약시장의 핵심 변화는 가격·비가격 평가 비중 조정, 화재 안전성 강화, 제주지역 ‘차익거래’ 시범시장 도입이다.

먼저 가격·비가격 평가 배분은 1차 사업의 6:4에서 2차는 5:5로 조정됐다. 비가격 평가 내에서 기술능력, 주민 수용성 및 사업 준비도 점수는 다소 하락한 반면, 계통연계, 산업경제 기여도와 화재안전성 항목의 배점은 증가했다. 이번 사업을 주도하는 조세철 전력거래소 팀장은 “비가격평가 변별력이 상대적으로 낮고, 가격평가는 상대적으로 높아 비가격평가 중요성이 약화됐었다”며 “따라서 비가격평가에 대한 변별력을 강화하고, 밸런스 등을 고려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ESS 화재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반영돼 ‘화재 및 설비 안전성’ 항목의 평가 배점이 기존 22점에서 25점으로 크게 상향 조정된 점이 눈에 띈다. 최근 ESS 화재에 대한 사회적 우려를 정성적으로 반영한 조치로, 배터리의 특성을 고려해 UL 인증 등 공신력 있는 인증 기준을 보유한 안전한 기술에 가점을 부여할 방침이다. 조 팀장은 “배터리의 특성을 고려하고 국내외 시험성적서를 토대로 열폭주 등 안전성을 상대평가하는 방식을 도입한다”며 “화재안전 전문가 풀을 운영위원회에 포함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새롭게 도입이 결정된 ‘제주 시장 메커니즘 시범 도입’에도 관심이 쏠린다. 차익거래 허용이라는 새로운 시장 구조가 제주에서 처음 적용되면서 향후 재생에너지 중심 전력시장을 선점하려는 사업자들의 경쟁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의 ESS 중앙계약시장은 차익거래가 불가능한 형태로 운영돼 사업자의 전략적 노력 유인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제주 지역 40MW 물량에 한해 차익거래를 허용하는 시범사업이 도입된다. 기존 계약이 총투자비를 고정비로 보상 및 차익거래 불가를 원칙으로 했다면, 2차부터는 제주에서 ‘기준금액 보상 + 차익거래 허용’ 모델이 시범 적용된다.

제주 지역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높아 실시간 시장 제도가 이미 시행 중인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제주 지역의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육지보다 약 3배 높으며, 일일 SMP 편차 역시 육지(153원/kWh)의 약 두 배 수준인 294원/kWh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전력거래소는 이러한 가격 변동성을 완화하고자 ESS의 차익거래 여건을 확보하고 별도의 보상 기준을 시범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조 팀장은 “사업자가 시장에 자발적으로 참여해 충·방전 스케줄을 제출하는 방식으로 수익을 창출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전력거래소는 이번 설명회 내용을 바탕으로 이달 24일까지 사업자 의견수렴을 진행하고, 이달 말 중앙계약시장 의결 및 입찰 공고를 시작할 예정이다. 이후 2026년 2월 입찰서 종합평가를 거쳐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