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영주차장 태양광 의무화 앞두고 “현장 문제 해소”
가이드라인·맞춤형 서비스로 실사용 연계 구조 지원 주력

사진은 기사의 특정사실과 관련 없음. [사진=이미지투데이]
사진은 기사의 특정사실과 관련 없음. [사진=이미지투데이]

오는 11월부터 일정 규모 이상의 공영주차장에 태양광 설치가 의무화되는 가운데 서울지방조달청이 상계거래 기반의 배전 설계와 가이드라인 배포 등을 통해 제도 실효성 확보에 나섰다.

7일 서울지방조달청에 따르면 청은 조달청 맞춤형서비스를 통해 설계 초기 단계부터 잉여전력 활용을 위한 상계거래 조건 반영을 점진 확대하고 있다.

상계거래란 자가소비 후 남는 전기를 전력망에 보내고, 그만큼의 전기요금을 차감받는 방식이다. 다만 기존에는 설계 단계에서 소비시설과의 연계가 미흡해 실질적인 상계거래가 이뤄지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여기에 최근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개정에 따라 공공 주차장을 설치·운영하는 국가기관과 지자체, 공공기관이 태양광 설비를 의무적으로 갖추게 하면서 상계거래 문제는 현안으로 다가온 상황이다. 실제 주차장 내 설치 현장에선 전기실 면적 확보와 전기차 충전기 분리 설계 요건 등으로 난항을 겪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서울지방조달청은 이러한 난점을 사전에 반영해 해소하고, 수요기관 여건에 맞춘 설계를 지원하며 실제 소비 전력과 연계되는 구조를 구현했다.

실제 청은 경기지역 국가기관 부설 주차장 설계에 직접 참여하고, 전북 새만금 지역의 국가기관 부설 주차장에선 시공관리 단계에 기술 컨설팅을 진행하는 등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 바 있다. 이들 사례는 전기실 배전반 면적 확보와 전기차 충전기 분리 설계 요건을 충실히 반영해 현장 적용성을 높였고, 상계거래가 가능하도록 설계한 점이 특징이다.

이들 태양광 설비는 당초 1000kW를 초과하는 용량으로 계획됐지만 상계거래 요건과 수요기관 여건을 고려해 1000kW 미만으로 설계를 조정해 상계거래가 가능하도록 개선했다. 이를 통해 낮 시간대 수요 부족으로 인한 발전설비 미가동과 전력 낭비를 줄였다는 설명이다.

경기지역 국가기관 부설 주차장의 경우 설비용량 975.82kW, 연간 발전량 1258.91MWh 규모로 설계해 상계거래 적용 시 연간 약 1억5000만원의 전기요금 절감 효과를 예상하고 있다.

서울지방조달청 관계자는 “상계거래가 반영되지 않은 태양광 설비는 에너지 낭비로 이어질 수 있어, 설치 이전부터 활용이 가능한 구조를 갖추는 것이 제도 실효성의 핵심”이라고 밝혔다.

청은 향후 현장에서 파악한 제도운영 관련 개선 의견을 관련 부처에 전달해 공공부문의 태양광 설치와 운영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자체 제작한 배전반 상계거래 가이드라인을 조달청에서 운영하는 나라장터 종합쇼핑몰 공지사항에 등록한 상태다. 쇼핑몰을 이용하는 수요기관과 제조사가 태양광 설비 설치와 운영 시 참고할 수 있도록 안내해 현장에서 상계거래가 안착·확산되도록 마중물 역할을 한다는 계획이다.

임병철 서울지방조달청장은 “공공부문의 태양광 설치는 이제 선택이 아닌 의무”라면서 “설계부터 조달, 운영까지 전 과정에서 해당 제도가 실효성 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적극 행정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