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발전협회·자원경제학회 공동세미나 개최
LNG 발전은 전력계통 내 핵심 유연성 전원
재생E 증가 탓에 LNG 발전설비 정비비용↑
현행 전력시장 내 보상방안 없어…대책 시급

18일 민간발전협회와 한국자원경제학회가 공동 주최한 ‘전력시스템 위기와 민간발전의 역할’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정세영 기자]
18일 민간발전협회와 한국자원경제학회가 공동 주최한 ‘전력시스템 위기와 민간발전의 역할’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정세영 기자]

재생에너지 확대와 송전망 건설 지연 속에 전력계통 안정화 기능을 떠맡은 LNG 발전에 시장 기반의 보상 체계를 도입해야 한다는 전문가 주장이 제기됐다.

18일 민간발전협회·한국자원경제학회가 공동 주최한 ‘전력시스템 위기와 민간발전의 역할’ 세미나에서 전문가들은 “재생에너지 간헐성 대응을 위한 핵심 유연성 전원인 민간 LNG 발전이 전력시스템 기여도에 비해 보상이 이뤄지지 않아 심각한 피해를 보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손양훈 인천대 명예교수는 “새 정부가 재생에너지 확대를 예고한 가운데 국내 전력시스템은 재생E·원전 등 경직성 전원의 비중이 너무 높아 이미 정상적인 작동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수력·양수발전 등 에너지저장장치(ESS)가 부족한 데다 송전망 건설까지 지연된 현 상황은 고립된 섬인 국내 전력계통의 운영을 더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다.

손 교수에 따르면 민간 LNG 발전은 시간당 5GW의 출력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돼 국내 전력계통에서 핵심적인 유연성 자원으로 기능한다. 2023년 기준 민간 발전사의 LNG 발전량은 103.6TWh로, 전체 LNG 발전량의 75.7%를 차지했다. 문제는 LNG 발전의 유연성 기능에 대한 합리적인 보상이 전혀 없다는 점이다.

손 교수는 “최근 LNG 발전의 잦은 기동정지로 인해 발전사의 정비비용이 올라가고 수명 연한이 짧아지고 있다”며 “모든 설비는 일정 수준 이하로 기동정지 횟수가 설계돼 있는데, 이를 초과하는 피해에 대한 보상이 없다. SMP가 0원이 되는 경우 ‘머스트런(Must Run)’으로 투입되는 LNG 발전은 변동비만 받는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손 교수는 SMP와 용량요금(CP)으로 이뤄져 유연성 전원에 대한 보상이 미흡한 현 전력시장에 유연성자원 시장이 추가로 도입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연성 전원에 경제적 신호를 제공해야 재생에너지 확대와 전력시스템 안정을 동시에 이룰 수 있다는 얘기다.

조상민 한국공학대 교수는 유럽의 사례를 들며 최근 러·우 전쟁과 스페인 정전을 겪으면서 재생에너지의 보완재로 LNG 발전의 중요성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고 밝혔다. 조 교수는 “유럽이 산업 경쟁력 약화와 재정지출 불균형에 직면해 탄소중립 경로에 대해 과거 대비 유연한 접근을 검토 중”이라며 “우리도 LNG 발전을 적정하게 활용하기 위해 유연성·관성·예비력 제공 기능에 대한 시장 기반의 보상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토론에 참석한 전문가도 비슷한 의견을 보였다. 전우영 전남대 교수는 “스페인 정전은 관성 확보를 통한 계통 강건성 유지와 사고 시 빠른 복구를 위한 회복 탄력성의 중요성을 보여줬다”며 “이 점에서 LNG 발전의 역할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이유수 에경연 선임연구위원도 “민간 발전사는 빈번한 기동정지, 설비 가동률 저하와 수익률 하락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시장 친화적인 운영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최승신 C2S 대표는 “스페인 정전은 태양광의 과잉 변동성을 제어할 관성 부족으로 전력망이 붕괴하는 것을 막지 못한 인재(人災)”라며 “유럽은 오히려 재생에너지를 줄이고 전통 발전원을 늘리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