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사진=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실질적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대통령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는 17개 시도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와 서울 LW컨벤션센터에서 ‘2025년 제1차 중앙·지방 탄녹위원장 소통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7일 밝혔다.

탄녹위에 따르면 이번 간담회는 지난해 수립한 시도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의 이행현황을 공유하고, 향후 중앙과 지방의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회의에서 탄녹위는 현재의 기후 상황, 국제 동향과 국내 여건, 제1기 위원회의 성과 등을 바탕으로 제2기 위원회의 추진 전략 및 핵심과제를 논의했다.

또한 환경부는 제1차 시군구 기본계획 수립현황, 제1차 시도 기본계획 추진상황 점검 방향 및 지자체 탄소중립 지원 확대 계획 등을 발표했다.

시도에서는 ▲건물 에너지 신고·등급 총량제 확대 시행(서울시) ▲제주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제주시) ▲전남형 K-패스 확대로 수송부문 온실가스 감축(전라남도) ▲RE100 산업단지 그린이노파크 조성(경상북도)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조성(세종시) 등 올해 핵심 추진계획에 대해 발표했다.

자유토론에서는 각 시도별로 우수사례를 공유했다. 시도 관계자들은 “국제사회와 약속한 탄소중립의 효과적 이행을 위해서는 중앙과 지방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수적”이라면서 지역별 탄소중립 정책 추진 과정에서 직면한 전문인력 및 재정 지원 부족 등의 어려움을 탄녹위에 전달했다.

한화진 탄녹위 공동위원장은 “기후변화 대응 현장의 최전선은 지역사회다”며 “시도 기본계획 이행에 다양한 어려움이 있지만, 탄녹위는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정책의 컨트롤타워로서 논의된 지역사회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유관 부처들과 긴밀히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